• {url:./treeAjax?siteMode=prod}

진전중수도감의궤(眞殿重修都監儀軌)

자료명 진전중수도감의궤(眞殿重修都監儀軌) 저자 진전중수도감(眞殿重修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眞殿重修都監儀軌 , 진전중수도감의궤(眞殿重修都監儀軌n1-1책) 저자(이칭) 儀軌廳(朝鮮) 編 , 의궤청(조선) 편(儀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3595 MF번호 MF35-56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工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48(영조 24년)
· 청구기호 K2-3595
· 마이크로필름 MF35-56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진전중수도감(眞殿重修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5.4 X 33.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0×26.0㎝
· 인장 一品奉使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48년(영조 24) 眞殿인 永禧殿을 중수하고 太祖·世祖·元宗의 影幀과 璿源殿 肅宗 影幀을 모사한 전말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眞殿重修都監儀軌’이며, 권수제는 ‘乾隆十三年戊辰正月眞殿重修都監儀軌’이다. 서근제는 ‘戊辰 眞殿重修儀軌’이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황색 표지를 사용하였다. 서명은 표지에 직접 墨書하여 線裝하였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單邊에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인 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다. 字數는 12行字數不定이다. 책 수는 1冊 276張이고, 본문의 종이는 壯紙를 사용하였다. 蟲害가 심한 張은 얇은 저지로 배접하였다. 본문에 “是歲端午親享時先行奉審至移安廳上顧殿司曰將來第一室當移奉於南壁矣叅奉臣洪梓記 / 此書所錄與今正殿奉安位次不同聞之禮曹判書李周鎭盖回朴文秀追後陳達定爲今規而此書闕而不載云”이라고 기록된 籤紙가 附添되어 있다. 誤字는 해당 부분은 刀割하여 동일한 저지로 덧대어 補瀉하였다. 본문 마지막에 ‘都提調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金[수결]’이 있다. 인장은 각 면마다 ‘一品奉使之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목록은 좌목, 啓辭, 賜物, 禮關, 의주, 이문, 來關, 품목, 감결, 의궤, 書啓, 論賞, 一房, 二房, 三房, 別工作의 순으로 정리되었다. 본문의 서두는 중수 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1748년 1월 27일 영정을 齋殿으로 移安하였다. 1월 27일 동측부터 차례로 舊閣을 철거하고 이날 터를 닦는 일을 시작하였다. 南山 아래 守禦廳 西門 밖에서 取土하였고, 2월 3일 남쪽부터 定礎하여 2월 4일 기둥을 세우고, 2월 4일 상량, 2월 8일 개와하였다. 이후 2월 25일 영정을 봉안하였다.
「좌목」에 의하면 도제조영의정 金在魯, 제조호조판서 金若魯, 朴文秀, 李周鎭, 鄭羽良 등 4명, 도청은 이태중, 송창명, 이익보 등 3명, 1방·2방·3방의 낭청과 監造官, 別工作, 算員, 錄事, 書吏, 承政院待令 書吏, 書寫, 庫直, 使令, 守直軍士 등의 이름이 나열되었다.
「啓辭秩」에 의하면, 1748년 1월 8일 先朝의 어용과 三聖의 어용을 모사하는 것, 진전을 중수하는 것은 事體가 모두 중하니, 御容摸寫都監의 당상과 낭청, 眞殿重修都監의 당상과 낭청을 吏曹가 書啓하였고, 도제조에게 두 도감을 겸하여 맡겨 摸寫重修都監 도제조라고 지칭하도록 하였다. 이후 1748년 2월 25일까지 국왕의 眞殿重修都監에서 올린 계사와 그에 따른 국왕의 전명과 하교 내용이 자세히 기술되었다. 영조는 1월 20일 畵員 張敬周가 붓을 잡고 주관하였고, 張得萬·秦應會·金喜誠·咸世輝·鄭弘采·朴泰煥이 동참하였으며, 儒生 가운데 그림에 능한 趙榮祏·尹德熙에게도 監董하라고 명하였다. 1월 22일 예조에서 영희전 移安 길일을 1월 27일로 정하고, 장녕전에 봉안된 어용 1본을 모사하여 2본 중 1본을 展奉하고, 영희전에 1본을 봉안하고, 江都에 봉안된 영정을 다시 모사하여 전봉한 후에 舊本을 상자에 봉안하여 日記 또는 禮曹 謄錄에 기록하고 都監儀軌로 갖출 것을 명하였다. 1월 24일 진전 이안 후 都監은 영희전 내 남측에 설치할 것을 보고하였다. 2월 19일 영희전 奉安 일자를 2월 25일로 정하고 하루 전 창덕궁 선정전에서 粧軸의 봉심 후 첨배하고 齋宿할 것을 하교하였다. 2월 25일 영조가 먼저 선정전에서 動駕告由祭를 행하고 영정 1본을 璿源殿에 봉안하였다. 또 영정 1본을 神輦에 봉안하고 이어 永禧殿으로 따라 나가 太祖·世祖·元宗의 御容을 제1실·제2실·제3실에 봉안하였으며, 肅宗의 어용은 제4실에 봉안하고 酌獻禮를 행한 다음 이어서 환궁하였다.
「稟定秩」은 제4실과 空室 내외 주렴을 새로 제작하고, 제1실·제2실·제3실의 朱簾 일체와 祭床, 屛風을 修補하였다. 각종 의장을 수보하고 영희전 봉안 후 일산, 양산 등을 보관하는 儀仗庫를 장녕전 앞쪽을 이용하였다는 내용이 정리되었다.
「賜物秩」은 1748년(영조 24) 1월 27일 영희전 이안 제물, 2월 3일 대왕대비전 사물을 비롯하여 각 군사, 장인, 工匠 助役 등에게 준 사물 등을 나열하였고, 「禮關秩」은 예조에서 진전 중수와 관련하여 올린 牒呈에 대한 국왕의 啓下 기록이 자세하다.
「儀註秩」은 永禧殿 各室 影幀 移安儀, 眞殿 重修 上樑儀, 永禧殿儀, 「移文秩」은 경상도 감영, 호조, 병조, 경기감영, 강화부, 개성부, 각 아문과 모사도감, 훈련도감 어영청, 비변사에서 왕래한 문서이다. 「來關秩」은 강화부, 개성부, 양주목, 어영청, 모사도감 등에서 보낸 문서이고, 「稟目秩」, 「甘結秩」, 「의궤질」이 차례로 정리되었다. 특히 「의궤질」은 1748년 2월 23일 도감의 諸役이 이미 끝나 전례에 의거하여 儀軌 節目을 마련한 別單을 書入하였다. 의궤는 6건을 제작하여 어람용으로 1건, 춘추관, 강화부 정족산성 사고, 예조, 의정부에 나머지 5건을 분상하였다. 2월 25일 진전중수도감 별단을 서계하였고, 2월 27일 비망기를 내려 도감 도제조 이하 영정이안 大祝을 작성한 李彝章 등을 비롯한 員役 이하 工匠에 이르기까지 상전을 내렸다.
이후에는 진전중수도감 1방 의궤, 2방 의궤, 3방 의궤의 各房 所掌부터 품목질, 감결질, 실입질, 工匠秩까지 차례로 정리되었다. 그중 1방은 각종 철물 품정, 진전 4실에 배치할 오봉산 병풍 1좌, 4실 영정 봉안 龍床과 紫綾褥, 彩花席 제작, 이안청과 진전의 주렴, 4실에 배치할 각종 상탁, 대소반, 난간평상, 청홍개, 봉작선 등 제작, 그리고 외대문 수보 등의 일을 맡았다. 2방은 浮石, 터다지기, 地正, 定礎, 磚石, 方甎, 半甎, 土役, 修掃 등을 맡았다. 3방은 正殿과 移安廳의 蓋瓦, 丹靑, 樑上塗灰, 神輦, 神轝 각 1좌를 수보하였고, 輪轝 2좌를 새로 제작, 의주와 각종 의장을 새로 만들거나 수보하였으며, 향청, 전사청, 제기고, 遮日庫, 집사청, 참봉청, 수복방을 수보하고 部將廳을 개조하였다. 3방에는 祭器秩이 포함되었다. 권미에는 都提調 金在魯 이하 提調 金若魯, 鄭羽良, 朴文秀, 都廳과 郎廳의 수결이 차례로 적혀 있다.
특성 및 가치
 1748년 영조永禧殿을 중수하고 太祖·世祖·元宗의 영정과 璿源殿 肅宗 영정을 모사할 때 논의와 관서 간에 왕래한 문서, 이안과 봉안 시 의례 등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사료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권67, 24년 1월 20일(을사); 2월 25일(기묘).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