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지릉정자각개건의궤(智陵丁字閣改建儀軌)

자료명 지릉정자각개건의궤(智陵丁字閣改建儀軌)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智陵丁字閣改建儀軌 , [익조]지릉정자각개건의궤([翼祖]智陵丁字閣改建儀軌) , 지릉정자각개건의궤(智陵丁字閣改建儀軌n1-1책) 저자(이칭) 의궤청 , 儀軌廳(朝鮮) 編 , 의궤청(조선) 편(儀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3593 MF번호 MF35-2189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32(영조 8년)
· 청구기호 K2-3593
· 마이크로필름 MF35-218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4.1 X 30.1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奉使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32년(영조 8)翼祖 智陵의 정자각을 중건한 전말을 기록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智陵丁字閣改建儀軌’이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황색 표지를 사용하였다. 서명은 표지에 직접 墨書하여 線裝하였다. 상단 부분의 훼손이 심한 내지에 표지와 동일한 서명이 묵서되어 있다. 본문의 판식은 無界, 無郭의 楮紙에 필사하였다. 行字數는 不定하다. 책 수는 1冊 21張이고, 본문의 종이는 楮紙를 사용하였다. 제1면에 ‘雍正十年壬子(1732)三月十三日’이라 기록되어 있고, 禮曹參議 申致雲의 성명을 묵색 원형으로 표시하였다. 書眉에 頭註가 있으나 제책하는 과정에서 書眉가 절단되어 頭註의 내용이 상실되었다. 인장은 각 면마다 ‘奉使之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표제는 ‘智陵丁字閣改建儀軌’라고 쓰여 있지만, 이는 근래 개장한 후 붙인 명칭으로, 본문에 의하면 ‘智陵丁字閣改建謄錄’으로 명명하는 것이 더 적당할 듯하다. 智陵조선 태조의 증조부인 翼祖의 능으로, 함경남도 안변부 서쪽 30리 龍驛村에 위치해 있다. 1732년(영조 8) 3월 13일 看役을 시작하였는데, 예조참의 申致雲, 좌랑 김익헌, 相地官兼奏時官 박상순, 봉수관 안변부사 박사정, 지릉참봉 오상희가 참여하였다. 상량문 봉독관은 문천군수 이선태, 고원군수 고만갑 등이었다.
다음으로 정자각의 규모와 내력, 그리고 정자각 중건의 주요 일지를 요약하고, 지릉 비석의 전후면의 각자 내용을 기록하였다. 정자각은 壬坐丙向 5樑 3間 八雀지붕의 건축으로, 1604년(선조 37) 신축하여 1668년(현종 9) 개건되었고, 이후 1732년에 다시 중건되었다. 3월 13일 고유제를 하고 이날 터를 닦았다. 3월 15일 정초하고, 3월 22일 상량하였으며, 4월 21일 지릉 정자각의 공역을 40일에 걸쳐 모두 마친 후 환안제를 설행하였다. 지릉의 비석 전면에는 ‘翼王智陵’이라 하고 후면에는 1393년 10월 立石한 碑身, 冠(이수), 下基石 길이와 높이, 넓이, 두께 등의 수치를 상세히 기술하였다.
이후 본문에는 頭註를 이용하여 지릉 중건과 관련한 주요 문서의 내용을 구분하였다. 1731년 7월 4일 함경감사 윤양래가 도내의 능전을 봉심한 결과를 보고하며 지릉 위 莎草(잔디)가 고사하고, 정자각 椽木(서까래)이 박락되거나 훼손된 것을 보고한 것을 시작으로 1732년 1월 22일 함경감사 정형익지릉 정자각 중건 시 각 해당 길일을 추택한 일 등을 보고한 狀啓가 실려 있다. 이후 예조지릉에 대한 相考事와 예조참의의 장계, 함경감사 移文 등이 실려 있다. 그중에는 3월 19일 陵所에 도착한 上樑文 전문도 실려 있다. 당시 상량문은 예조판서 宋寅明이 지어 올렸다. 이후 3월 24일 文川郡守 牒呈, 3월 29일 定平府使 첩정, 4월 2일 咸興判官 첩정 등이 자세히 실렸다.
당시 陵役에는 비록 都監을 설치하지 않았지만, 예조 당상 이하 지방관이 看役에 참여하여 도감의 事體와 다를 바가 없으므로, 근래 능 정자각 중건의 예에 의거하여 후에 참고할 수 있도록 예조에서 별도로 謄錄 1권을 만들어 올리도록 하였다. 권미에는 民丁, 僧軍의 부역 名數와 匠手에 대한 공궤 粮米, 各色 物力을 상술하였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태조의 증조부인 翼祖의 능을 중건하는 과정과 관련한 각종 논의를 파악할 수 있다. 영조 연간 北道 八陵에 대한 정비 작업을 실시했던 정황을 보여주는 사례로 규장각장서각 소장에 각각 소장된 『北道陵殿誌』, 《北道陵殿圖形》과 함께 검토할 수 있는 사료이다.

참고문헌

정은주, 「『北道陵殿誌』와 《北道(各)陵殿圖形》 연구」, 『한국문화』 67, 2014.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