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자료명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저자 증수도감(增修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 1836년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저자(이칭) 증수도감 , 增修都監(朝鮮) 編
청구기호 K2-3589 MF번호 MF35-559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工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종묘자료
· 작성시기 1836(헌종 2년)
· 청구기호 K2-3589
· 마이크로필름 MF35-55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증수도감(增修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3.7 X 32.1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33.0×25.9㎝
· 인장 奉使之印,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35년(헌종 1)부터 다음 해까지 종묘영녕전을 증수할 때의 전말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제와 권수제는 ‘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이다. 서근제는 표제와 동일하며, 서근제 옆에 각각 ‘增建 上 憲宗’, ‘增建 下 憲宗’이라 기재하였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짙은 朱色 표지를 사용하였다. 서명은 표지에 직접 墨書하여 線裝하였다. 표지 우측에 ‘道光四十六年(1836)丙申九月 日’, ‘憲宗二年’이 기록되어 있다. 서명 하단에 冊次가 ‘上·下’로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單邊에 上內向二葉花紋魚尾인 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다. 字數는 12行 24字이다. 책 수는 2卷 2冊이고, 본문의 종이는 楮紙를 사용하였다. 제2책에 彩色된 班次圖가 있고, 본문 마지막에 ‘都提調大匡輔國崇祿大夫行判中樞府事兼實錄摠裁官 臣沈[수결]’이 적혀 있다. 각 책 뒤표지 이면에 ‘大正八年(1919)一月日改修’라 기록되어 있다. 인장은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을 날인하였고, 우측 하단에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을 날인하였다. 각 면마다 ‘奉使之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서 제1권의 목차는 좌목, 時日, 承傳(奏啟幷附), 이문, 來關, 禮關, 의주, 상량문, 감결, 재용, 상전, 의궤, 1소까지 정리되었고, 제2권은 2소와 3소의 분장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좌목」은 도제조 행판중추부사 심상규, 제조 김적근, 이지연, 박지수, 서경보, 도청 김대근, 윤흥규 2명, 낭청 홍종영, 구행익 등 5명, 감조관 3명, 별공작 1명, 計士 6명, 錄事 1명, 書吏 7명, 書寫 2명, 고직 2명, 사령 7명, 文書直 1명, 米布直 2명, 守直軍士 4명, 官使喚 9명, 포졸 4명 등이다.
「시일」은 1835년 10월 21일 도감 당상과 낭청을 이조에서 계하하였고, 10월 27일 訓局 東別營에 도감을 설치하였다. 10월 28일부터 도감의 각 소의 일이 시작되었고, 慶熙宮에서 各殿에 移安하여 수리를 시작하고 11월 19일 경희궁에서 각전에 이안하여 수리를 마쳤다. 12월 10일 輦輿를 修補하여 경희궁 德應房에 移奉하였다. 12월 17일 이안 및 환안 반차도를 모사하여 入啓하였다. 1836년 1월 10일 종묘에 이안하였는데, 먼저 8실에 봉안하고 7실에 再奉하였다. 1월 13일 영녕전에 移安하였다. 이날 각소에서 종묘 내로 이안하였고, 南方부터 破屋하였다. 2월 13일 정초하였고, 2월 19일 상량하였다. 3월 25일 각소의 일을 마치고, 3월 27일 종묘영녕전에 환안하였다.
「승전」은 1835년 6월 20일 종묘, 영녕전 증건의 일은 내년 봄에 거행할 것을 大王大妃殿에 아뢰었다. 당시 어린 헌종(1827~1849)이 즉위하자 순조의 비 純元王后 金氏가 수렴청정을 하였기 때문이다. 10월 20일 종묘의 添建은 사체가 지중한 공역으로 도감의 호칭을 增修都監으로 하였다. 10월 24일 종묘 영녕전 증수도감사목을 올렸고, 10월 25일 종묘 영녕전 이안 처소를 봉심하여 경희궁으로 정하였다. 1835년(헌종 1) 12월 16일 종묘, 영녕전 이봉 시에 반차도에 의거하기 위해 각 도본을 제작하였다.
1836년(헌종 2) 1월 13일 종묘 정전 1間과 제기고 2間, 영녕전 정전 2間과 제기고 2間 등처를 毁撤하고, 터를 닦고 흙을 덮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3월 15일 영녕전 還安儀節의 마련하고 增修制度는 圖式으로 준비하여 봉안 때에 의거하여 거행할 것과 환안 시에는 제1실부터 제4실까지 봉안하고 제5실부터 제12실까지 봉안할 것을 보고하였다. 1836년 3월 25일 종묘영녕전의 공역을 모두 마치고, 3월 27일 종묘 15실과 영녕전 12실에 환안하였다.
다음으로 종묘영녕전 증수에 필요한 물품과 비용을 조달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관서끼리 왕래한 「移文」과 이조, 병조종묘서, 전설사, 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등에서 보고한 내용을 기록한 「來關」, 예조에서 이안과 환안의 행례와 관련한 相考事節을 보고한 내용인 「禮關」과 이안, 移奉, 상량의, 환안의와 관련한 「儀註」, 1835년 10월 22일부터 1836년 3월 19일까지 증수도감의 役事와 관련한 각종 사안을 정리한 「甘結」, 증수 비용을 정리한 「財用」, 공역을 마친 후 1836년 3월 27일 증수도감 도제조 이하부터 장인들에게 하사한 내역을 적은 「賞典」을 차례로 정리하였다.
도감의 공역을 마친 1836년 3월 26일 의궤사목을 마련하였는데, 의궤는 7건을 제작하여 1건은 규장각, 나머지 6건은 종묘서, 춘추관, 적산산성, 강화부 정족산성, 예조, 호조 등에 분상하였다. 1835년 10월 24일 도감을 설치하고 분장한 내용에 의하면 1소는 감실, 神榻, 移安機, 책보장, 경희궁光明殿, 長樂殿, 爲善堂, 泰寧殿, 資政殿의 수리, 木役, 破屋, 面簾, 門簾, 隔簾, 상탁, 鋪陳, 봉작선, 청홍개 등의 거동 시 배설을 담당하였다. 이후 도설에는 제작한 각종 물건을 그리고, 그 크기를 설명하였다. 제1권의 권미에는 1소에서 소용된 물품을 정리한 「稟目」이 정리되었다.
제2권부터는 2소의 구성원과 분장 내용이 있는데, 石役, 開基, 地正, 定礎, 磚石, 方甎, 土役, 修掃 등을 담당하였다. 이어 2소의 품목과 실입, 공장 등의 명단을 기록하였다. 한편 3소의 구성원과 분장 내용은 移還安儀註, 이환안 반차도, 신연 8좌, 신여 4좌, 향용정 8좌, 채여 8좌, 개건 시 舊在瓦移置, 동서월랑, 어재소, 공신당, 수복방, 전사청, 외북문, 외서문, 望廟樓, 악기고, 향대청, 정전 이하 蓋瓦와 丹靑, 상량, 塗灰 등의 일을 맡았다. 이어 3소 관련 품목, 감결, 실입, 공장의 명단이 자세히 기술되었다.
112면에 걸친 채색 필사본 반차도는 종묘영녕전 열성 신주의 이안, 환안 시의 의장 행렬을 그린 것이다. 권미에는 도제조 심상규, 제조 김적근 외에 도청 3인, 낭청 2인의 이름을 수결하였다.
특성 및 가치
 1835년 헌종의 즉위부터 1836년까지 종묘영녕전의 정전 및 제기고 등을 수리한 전말을 자세히 살필 수 있으며, 신주의 이안과 환안 시의 의주는 물론 행례를 파악할 수 있는 사료이다. 장서각 소장 K2-3588은 본서와 동일한 필사본으로, 전체 2권 2책 중 제2권 1책만 남아 있는 零本이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