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종묘수리도감(宗廟修理都監)

자료명 종묘수리도감(宗廟修理都監) 저자 종묘수리도감(宗廟修理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宗廟修理都監 , 종묘수리도감(宗廟修理都監) , 1637년 종묘수리의궤(宗廟修理儀軌) , 종묘수이도감(宗廟修理都監n1-1책) 저자(이칭) 宗廟修理都監廳(朝鮮) 編 , 종묘수리도감청 , 종묘수이도감청(조선) 편(宗廟修理都監廳(朝鮮) 編) , 종묘수리도감
청구기호 K2-3587 MF번호 MF35-2189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종묘자료
· 작성시기 1637(인조 15년)
· 청구기호 K2-3587
· 마이크로필름 MF35-218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종묘수리도감(宗廟修理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6.6 X 25.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0.6×22.0㎝
· 인장 奉使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37년(인조 15) 병자호란으로 훼손된 종묘의 시설을 수리하고 列聖 神主를 改造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宗廟修理都監’이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의 옅은 綠色 표지에 서명을 직접 墨書하여 청색 실로 線裝하였다. 표지와 동일한 속표지가 있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雙邊에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인 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고, 字數는 13行 27字이다. 책 수는 1冊 38張이고, 본문의 종이는 楮紙이다. 誤字는 해당 부분을 刀割하여 楮紙를 덧대어 補瀉하였다. 본문 중에 ‘丁丑(1637) 三月初一日’이라 하였다. 책의 훼손이 심해서 낱장별로 배접한 후 제책하였다. 인장은 각 면마다 ‘奉使之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병자호란 당시 종묘영녕전에 봉안된 신주는 총 40위였다. 이 중에서 인순왕후의 신주가 망실되었고 나머지 신주들은 흠집이 생기거나 긁히고 기름때 등으로 오염되었다. 병자호란 후 종묘와 사직의 신위를 창덕궁 時敏堂에 임시 봉안하였으나, 다시 환안할 때 개조할 신주를 먼저 만드는 것이 급선무였다.
본서의 도입부와 사목 부분과 권미의 일부가 심하게 결락되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어람용 『종묘수리도감의궤』(1책 67장)를 참조하면, 기사는 2월 26일에 宗廟署에서 종묘의 수리와 신주의 봉안을 건의한 것부터 2월 29일에 종묘 수리를 위한 修理所가 설치되고 2월 30일에 事目이 만들어진 내용이 포함되었다.
1637년 3월 3일 예조에서 見失된 仁順王后 神主 개조하는 일을 啓下하자 종묘수리도감에서 社稷 位版도 奉常寺에서 함께 개조할 것을 아뢰었다. 3월 4일 종묘서 도제조가 列聖 神主를 봉심하였는데 훼손된 것이 과반이며 그중 成宗大王, 宣祖大王의 신위와 世宗大王, 文定王后, 仁聖王后의 신위 역시 인순왕후 신주와 함께 수리도감에서 개조하고, 기타 열성 신주는 종묘 還安日에 香湯에 洗浴할 것을 아뢰었다.
3월 7일 예조에서 종묘의 事體가 극히 중하니 당연히 도감의 칭호를 붙이려 하였으나, 胡亂 중이라 간략하게 修理所라 하였지만 이제 호칭을 修理都監으로 바꿀 것을 계하하였다. 이후 3월 15일에 인조가 비망기를 내려 개조할 종묘의 神主 制度와 尺數 單子에는 영녕전 목왕, 효비, 정비, 의비, 공정대왕, 정안왕후, 현덕왕후, 睿宗大王, 안순왕후, 소혜왕후 등 10위와 종묘원경왕후, 세종대왕, 소헌왕후, 세조대왕, 성종대왕, 공혜왕후, 정현왕후, 중종대왕, 장경왕후, 문정왕후, 인성왕후, 명종대왕, 인순왕후, 선조대왕, 의인왕후, 인목왕후, 원종대왕, 인헌왕후 등 18위로 총 28위를 나열하고 신주 길이와 형태, 刻字 상황 등을 적었다. 예를 들면, 세종대왕 신주는 “길이 1척 5푼 넓이 5촌 2푼, 정상은 원형이지만 미미하다(長壹尺參分, 方伍寸貳分, 强上頂有圓形而微)”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3월 16일 예조에서 종묘 정전영녕전의 열성 신주를 봉심한 결과 앞서 고칠 것을 청한 5위의 신위 외에도 영녕전懿妃 신위와 종묘원경왕후, 소헌왕후, 세조대왕, 인목왕후의 신위를 개조 대상으로 포함하여 최종 11위로 조정되었다. 개조 대상이 된 옛 신위는 匱에 담겨 埋安하였고, 새로 만드는 사직 위판은 과거처럼 크기와 두께가 차이가 없도록 제작되었다.
종묘수리가 완료된 것은 윤4월 23일 경이다. 종묘의 수리는 1실부터 10실까지 영녕전은 1실부터 8실까지 御榻, 坐板, 龕室 薄板과 垂簾 등을 수보한 내용을 상세히 적었다. 5월 4일 인조명종의 신위 개조를 명하였다. 5월 6일 시민당에서 종묘로 열성 신주를 봉안 후 闕位에 改題하였다. 인순왕후 궐위를 개조할 때 肅寧殿에 봉안된 인조의 비 仁烈王后 신주도 개조하고 순회묘에 봉안되었던 順懷世子恭順嬪의 신주 역시 화를 당하였기에 개조하였다. 따라서 신주 궤는 내외궤 각 41部로 총 82부를 제작하였다. 이때 題主官은 동양위 신익성, 예조참의 조문수였다. 권미에는 신주에 개제할 때 소용되는 물품을 차례로 상술하였고, 고직, 사령, 서원 등의 이름을 적었다.
특성 및 가치
 병자호란 이후 종묘와 사직의 열성 신위를 개조하는 조정의 논의와 신위를 새로 만들고 기존의 것을 매안하는 등의 절차, 그리고 신주목으로 밤나무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서는 전반부와 권미가 망실된 상태이기 때문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종묘수리도감의궤』를 함께 참조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욱, 『宗廟修理都監儀軌』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