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양릉지장통기(兩陵誌狀通紀)

자료명 양릉지장통기(兩陵誌狀通紀) 저자 서명응(徐命膺), 김치인(金致仁)
자료명(이칭) 양릉지상통기(兩陵誌狀通紀) , 兩陵誌狀通紀 저자(이칭) 徐命膺(朝鮮) 等撰 ; , 김치인(金致仁)
청구기호 K2-355 MF번호 MF35-28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王·王后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K2-355:01
· K2-355:02
· K2-355:03
· K2-355:04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0(정조 4년)
· 청구기호 K2-355
· 마이크로필름 MF35-28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서명응(徐命膺) 등(等)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6.1 X 23.4
· 판본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현종실록자(顯宗實錄字))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8×17.0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英祖貞聖王后, 그리고 영조의 큰 아들 眞宗孝純王后에 관한 공식 문서들을 모아 1780년(정조 4)에 편찬한 책이다.
서지사항
顯宗實錄字로 간행된 판본으로, 同書가 4部 소장되어 있다. 表紙書名, 版心題, 書根題는 모두 ‘兩陵誌狀’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모두 ‘一·二·三(A, B)’으로 표기되어 있다. 앞표지 우측 상단에 編目이 기재되어 있다. 모두 朱色 避諱紙가 부착되어 있다. 甲本 書腦 하단에 ‘共三’이라는 기록이 있다. 卷末에 실린 ‘庚子仲夏芸閣印進’이라는 刊記를 통해 본 도서가 1780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表題는 ‘兩陵誌狀’이고 內題는 ‘兩陵誌狀通紀’이다. 3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권마다 오른쪽 상단에 수록 내용을 적어 놓았다. 권1에는 ‘凡例·目錄·英祖’, 권2에는 ‘英祖·貞聖王后’, 권3에는 ‘眞宗·孝純’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본문에는 ‘英宗’으로 표기되었으므로, 이는 ‘英祖’로 추존된 1890년(고종 27) 이후에 添記한 것으로 보인다.
권1에는 英宗大王의 行錄과 行狀이 수록되었는데, 行錄은 ‘今上御製’라고 적혀 있어 정조가 친히 지었음을 알 수 있다. 권2에는 먼저 영조의 ‘元陵誌文’과 景宗이 즉위하면서 영조를 王世弟로 봉한 敎書와 竹冊文 등이 있다. 다음으로 영조의 첫 번째 왕비인 貞聖王后의 ‘弘陵誌文’이 수록되어 있는데, 영조가 지은 글이다. 이후로 ‘封王世弟嬪敎命文’과 ‘封王妃敎命文’ 등이 기록되어 있다. 권3에는 먼저 정조에 의하여 추존된 왕 眞宗大王의 ‘永陵誌文’이 실려 있는데, 英宗御製이다. ‘封王世子敎命文’과 ‘冠禮敎命文’ 등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眞宗의 妃인 孝純王后의 英宗御製 ‘誌文’ 등이 실려 있다. 각각의 인물들에게는 공통적으로 사후에 올려진 존호의 玉冊文·諡冊文·哀冊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3 이후에 별도로 교정관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는데, 金致仁·金尙喆·李溵·徐命善·鄭弘淳·李徽之·徐命膺·蔡濟恭·金鍾秀·兪彦鎬·鄭民始·鄭志儉·金宇鎭·徐龍輔 등 14명이다. 본서의 마지막에 있는 刊記를 보면 ‘庚子仲夏芸閣印進’이라고 되어 있어, 1780년(정조 4) 여름에 校書館에서 인출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영조정성왕후, 진종효순왕후에 관한 공식 문서를 한곳에 모아 놓아 참고에 용이하다.

집필자

신병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