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아국공신(俄國公信)

자료명 아국공신(俄國公信) 저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統商事務衙門) 편(編)
자료명(이칭) 俄國公信 저자(이칭) 統理交涉統商事務衙門(朝鮮) 編
청구기호 K2-3484 MF번호 MF35-40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外交·通商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87](고종 24년)
· 청구기호 K2-3484
· 마이크로필름 MF35-40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統商事務衙門)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8.5 X 18.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3×14.0㎝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82년(고종 19) 6월부터 1887년(고종 24) 4월까지 조선의 외교기관인 統理機務衙門,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러시아 외교관(조약 비준 이후에는 러시아 공관) 사이에 주고받은 공문서들을 정리한 필사본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제와 권수제는 ‘俄國公信’이다. 미색 표지의 線裝本이다. 표지는 2개인데, 겉표지 뒤표지 이면에 ‘西紀一九七三年五月 / 藏書閣再裝’이란 글이 있다. 겉표지와 원표지 모두 좌측 상단에 표제는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 10行, 烏絲欄, 無魚尾, 판심 상단에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이, 하단에 ‘第 道’가 인쇄된 印札空冊紙를 사용하였다. 본문 시작 전 1장을 비워두고, 좌상에 표지 서명만 적어서, 공격지처럼 사용하였다. 권말에 ‘光緖十三年(1887)閏四月二十五日’이란 기록을 통해 1887년(고종 24) 무렵 필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俄國公信에는 조선러시아 사이에 오고 간 공문들이 날짜 순서로 정리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1882년(고종 19) 러시아 정부의 조약 체결 제의, 1884년 조러수호통상조약 체결 과정에서 조선 전권대신 김병시(金炳始)러시아 전권공사 베베르(Karl Ivanovich Weber, 韋貝) 사이에 주고받은 공문, 갑신정변 발발 직후 주일 러시아 공사관의 참찬관 슈페이예르(A. H. Speyer)조선 방문에 관한 문건, 1885년 조약 비준 관련 공문, 1886년 한러 밀약 관련 문서, 조선러시아의 육로장정 체결에 관한 교섭, 연해주 거주 한국인의 국적 문제, 대우, 송환 문제에 관한 건, 그리고 통상적인 영사 업무 관련 문서들이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의 외교기관[統理機務衙門,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外衙門, 外部]과 러시아 외교관 사이에 주고받은 공문서들을 분철한 책이 『俄案』, 『俄信』이다. 『俄國公信』에 수록된 문서의 대부분은 아안과 아신에 수록되어 있다. 그런 이유로 『俄國公信』의 자료적 가치가 한정적일 수도 있지만, 『俄國公信』에는 아안과 아신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1882년 러시아의 조약 체결 제안 공문이 일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아안, 아신과 별도로 공문 일부 발췌해서 『俄國公信』을 제작했다는 점을 볼 때, 『俄國公信』을 통해서 당시 조선러시아와의 업무에서 주안점으로 삼았던 부분을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俄案』(奎 18051-v.1-12)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편, 『舊韓國外交文書』 17권(俄案), 1969.

집필자

한승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