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사기찬(史記贊)

자료명 사기찬(史記贊) 저자 사마천(史馬遷)
자료명(이칭) 史記贊 저자(이칭) 史馬遷(漢) 撰 , 사마천(한) 찬(史馬遷(漢) 撰)
청구기호 K2-346 MF번호 MF16-28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史評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346
· 마이크로필름 MF16-28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사마천(史馬遷)(한(漢))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29.0 X 18.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3×13.4cm
· 인장 觀物軒, 貳極之章,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史記』에 수록된 사마천의 論贊만을 초록한 서적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史贊’, 內題는 ‘史記贊’이다. 본문은 木板 墨印札空冊紙에 필사되어 있다. 邊蘭에는 頭註와 眉註, 본문에는 남색의 略體口訣, 朱色과 黃色의 批點, 녹색의 圈點 및 夾批가 수록되어 있다. 두주의 경우 『사기』 三家註인 集解·索隱·正義에서 산절한 부분도 보이지만, 삼가주에 없는 내용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두주가 當代의 독창적인 견해인지 中國本 評論書의 논평을 받아들인 것인지에 관해서는 보다 면밀한 대조가 필요하다. 제1장 우측 하단에 ‘觀物軒’, ‘貳極之章’이, 우측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장서인을 통해 볼 때 正祖(1752~1800)가 세자 시절에 열람했던 서적으로 추정된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사마천의 『사기』 130권 중 17편을 제외한 123편에 수록된 태사공의 논찬만을 초록한 서적이다. 선정된 내용을 수록 순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本紀의 경우 秦始皇, 孝景, 孝武의 본기를 제외한 五帝, , , , , 項羽, 高祖, 呂后, 孝文의 본기 9편이 수록되어 있다. 表의 경우 漢興以來將相名臣年表를 제외한 三代世表, 十二諸侯年表, 六國表, 秦楚之際月表, 漢興以來諸侯年表, 高祖功臣年表, 惠景間侯者年表, 建元以來侯者年表, 建元以來王子侯者年表 9편이 수록되어 있다. 書의 경우 禮書, 樂書, 律書, 曆書, 天官書를 제외한 후 封禪書, 河渠書, 平準書 세 편만 실려 있다. 世家의 경우 陳涉, 外戚, 梁孝王, 五宗, 三王의 세가를 제외한 25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管蔡世家의 경우 管蔡와 曺叔 2편으로 분할하여 태사공의 논찬을 각기 수록했다. 列傳의 경우 伯夷, 傅靳, 儒林, 佞幸, 滑稽, 日者, 龜策, 貨殖, 太史公自序의 열전을 제외한 61개의 열전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혹리열전의 경우 원래는 大宛列傳 앞에 수록되어야 하지만 遊俠列傳 이후에 배치된 후, 태사공의 논찬을 酷吏傳序과 酷吏列傳贊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혹리전서는 혹리열전의 시작 부분으로 공자의 말씀과 태사공의 논찬을 수록한 것이며, 혹리열전찬은 이 열전의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는 태사공의 논찬이다. 유협열전, 혹리전서, 혹리열전찬 3면은 서체의 차이로 볼 때 이후에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특성 및 가치
본서의 특징은 口訣, 頭註, 본문에 찍힌 朱色과 黃色의 批點과 녹색의 圈點 및 夾批를 들 수 있다. 특히 두주의 경우 集解·索隱·正義의 三家註에서 산절한 것도 있지만, 삼가주에 없는 내용도 많다. 이러한 두주가 중국본 『사기평림』의 논평을 수용한 것인지, 당대에 이루어진 독창적인 견해인지에 관해서는 보다 면밀한 대조가 필요하다.

집필자

김소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