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양주목장중기책(楊州牧場重記冊)

자료명 양주목장중기책(楊州牧場重記冊) 저자 양주목장(楊州牧場) 편(編)
자료명(이칭) 楊州牧場重記冊 저자(이칭) 楊州牧場(朝鮮) 編
청구기호 K2-3409 MF번호 MF16-30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司僕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07(순조 7년)
· 청구기호 K2-3409
· 마이크로필름 MF16-30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양주목장(楊州牧場)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9.0 X 26.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1.4×23.0㎝
· 인장 楊州監牧官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07년(순조 7)경기도 양주목장의 重記를 기록한 成冊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제는 ‘嘉慶十二年二月日楊州牧場重記冊’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斜格卍字 문양이있다. 표지 중앙에 표제는, 우측 하단에 ‘李等’이란 글이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 14行, 烏絲欄의 그려서 만든 空冊紙가 사용되었다. 본문 변란 상단에 검은 점이 찍혀 있는 경우가 있다. 표지 서명 아래와 본문 곳곳에 ‘楊州監牧官印’이 다수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1807년 2월에 양주목장에서 작성한 重記冊이다. 작성자는 李等으로 되어 있다. 본문은 重記冊의 일반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다. 별도의 목차는 기재되어 있지 않고 본문 내용을 목차별로 분류해 보면 箭串牧場, 公廨秩, 監官員役下人秩, 公廨秩, 屯田秩, 還穀秩, 殖利錢秩, 各項應捧應下秩, 牧場秩, 戶房庫, 官廳, 紙筒, 樓上庫, 植木秩로 구성되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양주에 소재하는 목장은 두 곳이었다. 하나는 箭串坪이었고 다른 하나는 綠楊坪이었다. 그런데 본 중기책에는 箭串牧場만 기재되어 있다. 箭串牧場 항목에는 목장의 크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1만 2,789步였다. 公廨秩에는 목장에 있는 건물명과 칸수가 기재되어 있다. 監官員役下人秩에는 소속 관원이 기재되어 있는데 목장감관, 본창감관, 순산감관, 公兄, 書員 등이 기재되어 있다. 두 번째 公廨秩에는 첫 번째 公廨秩보다 더 다양한 건물과 칸수가 기재되어 있는데 다른 이유는 구체적이지 않다. 東軒을 비롯하여 內衙, 使令番房, 還米庫, 樓上庫, 草家冊房, 及唱番房, 作廳 등의 칸수가 기록되어 있다.
屯田畓秩에는 목장에서 관리하는 둔전의 내역이 기재되어 있다. 田畓 중에서 陳田 상태인 것은 12결이었고 起田인 상태는 17결로 모두 합하여 약 30여 결이었다. 面牧屯田은 24 여 결이었고 栗園土築이 5,000把였다. 사포서에서 移屬된 둔전은 1결 50부였다. 藍田은 21부였고 牧場屯의 田은 617일경, 畓은 116일경이었다. 마지막으로 각 草坪은 55결이었다.
還穀秩에는 목장에서 운영하는 환곡이 기재되어 있다. 米는 총융청과 수어청에서 1,700여 석을 받아 왔고, 자체적으로 사 온 것은 1,000석이었다. 그래서 모두 2,700석을 환곡으로 운영하였다. 이 외에도 租, 牟도 환곡으로 활용하였다. 殖利錢秩에는 牧場에서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殖利 운영이 기재되어 있다. 호조에서 錢文 1,000냥, 장용영에서 1,500냥을 확보하고 있었다. 모두 합하여 2,500냥을 分債하고 있었다. 各項應捧應下秩에는 수입과 지출 내역이 기재되어 있다. 錢文 수입은 대략 4,926여 냥 정도였다.
牧馬秩에는 기르는 말의 수가 기재되어 있다. 목장에는 309필이 있었는데 이 중 43필이 증가하여 時在馬는 352필이었다. 이중에서 雄馬는 169필, 雌馬는 183필이었다. 戶房庫과 官廳에는 창고에 보관된 물품과 수량이 기재되어 있다. 紙筒에는 서책이 주로 보관되어 있었다. 선생안, 대절목, 둔절목, 목장 둔전 관련 양안을 비롯하여 재정 운영 관련 서책 등이 다수를 차지했다. 植木秩에는 관리하는 나무와 수를 기재했다. 栗木, 杏木, 李木, 桑木이 있다.
특성 및 가치
사복시에서는 지방에 다수의 목장을 관리하고 있었다. 그중에서 도성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箭串牧場에 대한 구체적인 목장 운영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목장을 구성하는 건물, 목장 운영 인원, 목장의 재정을 담당하는 둔전, 환곡, 식리, 목장에서 관리하는 말의 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병로·김찬수·이왕무, 「조선시대 司僕寺의 설치와 牧場운영」, 『京畿史學』 8, 2004.

집필자

박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