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훈국등록(訓局謄錄)

자료명 훈국등록(訓局謄錄) 저자 훈련도감(訓鍊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1801~1834년 훈국등록(訓局謄錄) , 訓局謄錄 저자(이칭) 훈련도감 , 訓鍊都監(朝鮮) 編 , 훈련도감(조선) 편(訓鍊都監(朝鮮) 編)
청구기호 K2-3401 MF번호 MF35-600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史部/政書類/軍政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기록유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군영등록
· 작성시기 1801
· 청구기호 K2-3401
· 마이크로필름 MF35-600
· 기록시기 1801~1834年(純祖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훈련도감(訓鍊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4.0 X 25.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6.2×19.2㎝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순조 연간에 훈련도감의 창설연혁, 式例, 賞格, 給料, 각종 재물 현황 등 운영 상황 전반의 내용을 정리해 편찬한 책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제와 서근제는 ‘訓局謄錄’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斜格卍字 문양이 있다. 앞뒤 모두 공격지가 있다. 표지의 좌측 상단에 표제는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 10行, 烏絲欄,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의 印札空冊紙를 사용하였다. 본문 중 ‘當’, ‘肅’, ‘仁’과 같은 왕과 관련된 글자를 변란 위에 높여 기술하였으며, ‘式例’나 ‘中旬式’과 같은 글 위에 빨간색 원으로 표시한 흔적이 나타나며, 본문 위에도 점이 찍혀 있는 부분이 다수 나타난다. 본문 가운데 종이를 덧대어 수정한 부분이 있다. 앞 공격지 이면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훈련도감은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 군병 확충을 위한 임시기구로 설치되어 이후 상설군문으로 발전하였다. 훈련도감은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 이후 군제 개편으로 인해 해체될 때까지 도성을 수비하는 최대 군영으로 운영되었다. 훈련도감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국왕 호위, 도성 경비와 수리 등 군사적 업무에 집중되었다. 이후 어영청과 금위영이 신설되면서 ‘都城三軍門’ 체제가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훈련도감은 군사적 위상이나 규모 면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훈련도감은 ‘訓局’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는데, 『訓局謄錄』은 바로 훈련도감과 관련한 각종 공문서나 조정의 논의 사항, 훈련도감의 운영과 관련된 내용 등을 정리하여 모아놓은 책이다. 현재 장서각에는 『訓局謄錄』이라는 이름을 가진 총 4종의 문서를 소장하고 있다. 1615년(광해군 7) 11월부터 1617년(광해군 9) 8월까지의 『訓局謄錄』(K2-3398), 1626년(인조 4) 7월부터 1627년(인조 5) 12월까지의 『訓局謄錄』(K2-3399), 1628년(인조 6) 1월부터 1881년(고종 18) 12월까지의 『訓局謄錄』(K2-3400), 순조 연간에 마련된 훈련도감의 사례집이라 할 수 있는 『訓局謄錄』(K2-3401) 등 4종이 그것이다.
본서는 『훈국등록』이라는 서명을 갖고 있지만, 실제 내용은 다른 『훈국등록』처럼 일자별 내용을 모아놓은 것이 아니라 훈련도감과 관련한 사례를 모아놓은 책이다. 도감의 창설연혁에서부터 각종 식례, 賞格, 給料, 휴가 규정, 말과 선척의 보유 현황, 宮城 경비 구역, 군병과 봉족 현황, 褒貶, 각종 折價 등 훈련도감 운영과 관련한 전반적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한편, 이 밖에도 장서각에는 『訓局謄鈔』(K2-3402)·『訓局事例撮要』(K23403)·『訓局執事廳謄錄』(K2-3404)·『訓局總要』(K2-3405)·『訓局總要』(K2-3406)·『訓局撮要事例』(K2-3407) 등 훈련도감과 관련된 문서들을 소장하고 있다. 『훈국등록』과 함께 상기 자료들을 분석한다면 보다 풍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훈련도감의 운영 모습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다른 사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훈련도감의 세부 규정들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서 훈련도감과 관련한 다양한 의문점을 해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訓局謄錄』(K2-3398~3400)
訓局事例撮要』(K2-3403)
訓局執事廳謄錄』(K2-3404)
訓局總要』(K2-3405~3406)
訓局撮要事例』(K2-3407)
김종수, 「朝鮮後期 訓鍊都監의 設立과 運營」,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차문섭, 「조선후기 중앙군제의 재편」, 『한국사론』 9, 국사편찬위원회, 1981.

집필자

임성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