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총융청사례(摠戎廳事例)

자료명 총융청사례(摠戎廳事例) 저자 총융청(摠戎廳) 편(編)
자료명(이칭) 1757~1884년경 총융청사례(摠戎廳事例) , 摠戎廳事例 저자(이칭) 총위영 , 총융청(조선) 편(摠戎廳(朝鮮) 編) , 摠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3382 MF번호 MF35-423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史部/政書類/軍政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기록유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군영등록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3382
· 마이크로필름 MF35-42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총융청(摠戎廳)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6.0 X 24.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0.0×19.6㎝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총융청의 군병 급료, 군기 제작, 군병 동원 시 비용 등 군사 재정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과 서근제는 ‘摠戎廳事例’이다. 斜格卍字 문양이 있는 표지에 서명이 묵서되었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단권임을 표시한 ‘單’이 묵서되었다. 표지 우측 상단에는 ‘仁祖 創設’이라고 기재되었다. 총융청이 창설된 1624년 이후에 필사된 것은 분명하지만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다. 四周單邊에 上內向二葉花紋魚尾인 인찰공책지에 본문의 내용이 필사되었다. 행자수는 10行이고 자수는 일정하지 않다. 본문의 종이는 楮紙이다. 인장은 본문 제1면 우측 상단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었다.
체제 및 내용
총융청에서 시행했던 사안의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서론과 목차 없이 사안별로 제목을 정해 기재하였다. 제목들을 정리하면 將官將校軍兵員役受料實數, 北漢太古寺所在冊板數爻, 宴需式, 賻儀式, 新除授時例下式永減, 新除授時茵席例下, 兼察時例下式(永減), 幸行時軍服次磨鍊, 幸行時考例行下, 雜式考例, 月課製造式, 各處沈醬例下, 靑草價, 穀草價, 春等茵席, 秋等茵席及窓戶紙, 柴油價, 風遮草芚, 同五里價, 各色軍兵式年都案改備例下, 均廳十月給代輸來時例下, 軍案樻二坐會計案樻二坐新造式, 褒貶時例下, 初伏日例下(永減), 政府書吏使令歲饌例下(永減), 射會劃紙價例下, 敎師軍服例下, 私送太例下, 栔屛求請例下(永減), 差祭時例下(永減), 中軍差除時例下, 新差將校員役計日料例下(永減), 議政府書吏使令点心米例下(永減), 冬炭例下, 歲炭例下, 都錄樻及冊一卷所入例下, 曆書價例下, 各倉紙五部新造例下, 素易服次例下, 大祥易服次例下, 折價式, 薪鐵精造式, 作燭式, 作疋式, 戶稅式, 代穀式, 穀草蓋草式, 各屯出穀戶稅式, 船價式, 卜馬年限, 軍物新造式 등 50개이다. 제목별 세부 항목에서 주목되는 5가지 항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將官將校軍兵員役受料實數」는 총융청 소속 관원의 실수와 급료 이외에 訓倉, 禁倉, 御倉, 僧倉, 臨津鎭, 長山鎭, 黔巖屯, 水逾屯 등의 창고 및 진이 설명되었다. 특히 僧倉에는 摠攝, 中軍僧, 書記僧, 左右兵房僧, 左右別將僧, 千摠僧, 把摠僧, 旗牌官僧, 旗幟次知僧, 元曉庵僧直, 別庫庫直僧, 冊板僧, 醬庫庫直僧, 敎鍊官僧, 中軍兵房僧, 付料軍官僧, 火砲手僧, 掌務軍官僧, 通引僧, 十一寺僧將僧, 首僧, 碑閣直僧, 奉聖庵直僧, 摠攝供需僧, 負木僧, 十一寺義僧, 義僧番房, 鹽醬僧, 山映樓直僧, 藍輿僧, 報狀僧, 軍色員役例送, 任僧公用次, 扶尊僧, 重與寺各掌僧, 重與寺主掌僧, 三寶僧, 文殊寺主掌僧 등이 소속되었다고 하였다.
「北漢太古寺所在冊板數爻」에는 太古寺에 『論語』, 『孟子』, 『中庸』, 『大學』, 『詩傳』, 『書傳』, 『周易』, 『孫武子』, 『童蒙先習』, 『千字文』, 『啓蒙篇』, 『通鑑』, 『易五贊』, 『小學』, 『史略』, 『唐詩』, 『喪禮備要』, 『古文眞寶』, 『德水世稿』, 『魚氏世譜』, 『北漢誌』 등 21책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는 것을 기재하였다.
「議政府書吏使令点心米例下永減」에는 書吏에게 쌀 1石, 使令에게 7斗를 지급한 내용과 「折價式」에는 물건 값으로, 木 1疋에 2냥, 布 1필에 1냥 5전, 米 1石에 5냥, 租 1石에 2냥, 太 1石에 2냥 5전, 粟 1石에 2냥, 稷 1石에 1냥 3전 3푼, 壯紙 1권에 1냥, 白紙 1권에 2전, 生麻 1근에 2전, 熟麻 1근에 2전 5푼, 灰 1斗에 2전, 黃蜜 1斤에 1냥 등이다.
「作疋式」에는 木은 35尺이 1疋, 布는 35尺이 1疋, 黑三升은 11尺이 1疋, 藍三升은 10尺이 1疋이라고 하였다.
특성 및 가치
총융청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주로 정리한 책으로 당시의 인건비와 물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총융청의 본거지인 북한산성을 중심으로 주변의 방어에 소요되는 비용도 알 수 있는 내용이다. 특히 당시의 물종에 대한 상세한 내역과 그 해당 가격은 경제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편, 『한국군사사』7·8, 2012.
이태진, 『조선후기의 정치와 군영제 변천』, 한국연구원, 1985.
차문섭, 『조선시대 군사관계연구』, 단국대학교, 1996.

집필자

이왕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