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

자료명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 저자 장용영(壯勇營) 찬(撰)
자료명(이칭) 1793년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 ,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n1-3책) , 壯勇營大節目 저자(이칭) 壯勇營(朝鮮) 編 , 장용영(조선) 편(壯勇營(朝鮮) 編) , 장용영
청구기호 K2-3369 MF번호 MF35-640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史部/政書類/軍政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기록유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군영등록
· 작성시기 1793(정조 17년)
· 청구기호 K2-3369
· 마이크로필름 MF35-640
· 기록시기 1793年(正祖 17)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장용영(壯勇營)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41.3 X 25.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7.7×18.9㎝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정조가 왕권의 강화를 위해 1793년(정조 17)에 설치한 친위 군영인 장용영의 연혁과 운영을 정리한 절목이다.
서지사항
3권 3책이다. 표지 서명은 ‘壯勇營大節目’이며 서명은 권수제를 근거로 하였다. 斜格卍字 문양이 있는 표지에 서명이 묵서되었다. 書腦 하단에 ‘共三’라고 총 책 수가 표시되었다. 四周雙邊에 上內向白魚尾인 인찰공책지에 본문의 내용이 필사되었다. 본문에서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이 끝나면 1장을 건너뛰고 새로운 제목이 필사되었다. 행자수는 10行 24字이며 주쌍행이다. 본문의 종이는 壯紙이다.
체제 및 내용
이 책은 표제에 절목이라고 했지만 그 내용은 장용영의 운영과 체제를 보여주는 것이다. 서론은 없고 목차와 본문으로 구성되었다. 제1책은 官職, 建置, 將校, 差除, 員役, 遷轉, 軍制, 廳舍, 符信, 軍號, 抄定, 參謁, 儀節, 職掌, 兼察, 軍籍, 軍器, 形名, 入直, 番上, 陪扈, 徵發, 犒饋, 肄陣, 講射, 試射, 中日, 私習, 取才, 馬政, 給仕, 給暇, 飭令, 棍治 등의 34개 항목이다. 제2책은 經用, 支放, 穀簿, 會外, 褒貶, 相見, 會坐, 文牒, 施賞, 會計, 反閱, 周恤, 年限, 雜式 등의 14개 항목이다. 제3책은 外營, 陞留守, 制置, 分供, 親軍衛, 步軍, 留防, 別軍官, 都試, 拜峯鎭, 古城鎭, 壯別都試, 葛麻倉, 露梁鎭 등의 14개 항목이다. 그런데 1책의 建置는 목록에만 있고 항목에는 없다. 항목별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관직과 장교: 장교직의 창설 연도와 증감 등의 내력이다. 2) 차제: 도제조에서 장교에 이르기까지 임명 방법이다. 3) 원역: 서리, 서사, 대령서리 등 여러 원역에 관한 창설 연도이다. 4) 천전: 훈련첨정, 훈련판관, 훈련주부 자리를 하나씩 더 설치해 초관을 만들고, 참외 초관은 근무 경력이 15개월이 되면 주부로 승진시키는 방법과 지구관 및 교련관 이하 관원들의 승진 방법이다. 5) 군제: 경군, 향군, 사후군 등 각종 군병들의 액수이다. 6) 청사: 장용영 446칸, 直房 76칸, 治所 99칸 반, 北倉 191칸 반의 내역이다. 7) 부신: 인신의 형태 및 사용, 관리 방법이다. 8) 참알: 도제조 이하 약방 침의에 이르기까지 새로 제수된 날에 국왕을 알현하는 방법, 동지·정조·탄신에 도제조·제조·대장 이하가 참알례를 행하는 것 등이다. 9) 군기: 군기의 제조 관리와 파악에 대한 것이다. 10) 강사: 무관에게 무예를 시험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다. 11) 중일: 3일마다 입직하는 장관 및 장교, 마보군병에게 중일시사를 설행하는 것이다. 12) 주휼: 군병 중에 가난해서 장가를 갈 수 없거나 상을 당해 제대로 장례를 치를 수 없거나 가옥이 파괴되었거나 여역에 걸린 자에게 전곡으로 구제해 주는 것이다. 13) 연한: 한 해 걸러서 또는 두 해 걸러서 교련관과 별무사 등의 저포군복이나 목면군복조로 지출되는 경비와 장용위의 전립가로 지출되는 것이다. 14) 잡식: 공장요식, 양장목수조역, 군물 개수시 각색 장료, 장교의 노자, 사냥가는 아병의 양찬 등에 지출되는 것이다. 15) 보군: 13초로 삼사의 제도를 정한 다음 좌우중으로 그 사호를 정하고 좌사·우사는 각각 5초, 중사는 좌·중·우 3초로 마련하는 것이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정조가 왕권을 강화하고 수원을 중심으로 새로운 친정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설립한 장용영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장용영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되었으나 절목, 고사와 같은 기초적 자료를 대폭 활용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 책은 정조 대 장용영 연구에 필수적 자료이다. 장용영 군제의 운영과 시기별 사안들이 언급되고 있다. 또한 장용영 사례를 이용하여 정조 대 중앙군과 지방군의 편제 및 운영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편, 『한국군사사』7·8, 2012.
김준혁, 「정조대 장용영 설치의 정치적 추이」, 『사학연구』78, 2005.
배우성, 「正祖年間 武班軍營大將과 軍營政策」, 『한국사론』24, 1991.
이왕무, 「本營圖形을 통한 조선후기 장용영의 모습」, 『장서각』21, 2009.
이태진, 『조선후기의 정치와 군영제 변천』, 한국연구원, 1985.
차문섭, 『조선시대 군사관계연구』, 단국대학교, 1996.

집필자

이왕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