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효장세자상례의궤(孝章世子喪禮儀軌)

자료명 효장세자상례의궤(孝章世子喪禮儀軌) 저자 장생전(長生殿) 편(編)
자료명(이칭) 孝章世子喪禮儀軌 , [효장세자]상례의궤([孝章世子]喪禮儀軌) 저자(이칭) 의궤청(儀軌廳 編) , 장생전 , 儀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3050 MF번호 MF35-4862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29(영조 5년)
· 청구기호 K2-3050
· 마이크로필름 MF35-486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장생전(長生殿)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6.5 X 35.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7.9×29.1㎝
· 인장 長生殿郞廳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영조의 맏아들 효장세자가 훙서한 1728년(영조 4) 11월 16일부터 이듬해 1729년(영조 5) 1월까지 그의 禮葬 과정을 정리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孝章世子喪禮儀軌’이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녹색 마분지로 개장한 것이다. 표지 우측에 ‘戊申十一月’, ‘長生殿’이 적혀 있다. 본문의 판식은 12행에 맞추어 괘선을 직접 그은 것으로 어미는 없다. 종이는 질이 좋은 두터운 楮紙를 사용하였다. 본문의 글씨는 12행 22~27자에 맞추어 楷書로 적었다. 책 수는 61장과 空紙 1장이 더 있는 1책이다. 인장은 ‘長生殿郞廳印’을 본문의 펼친 양면마다 총 5과씩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전체 목록은 없고 곧바로 본문이 시작된다. 전체 체제는[啓辭·傳敎·甘結·來關·座目], 實入燒火秩, 用還秩, 別工作監役所手本秩, 別工作實入秩, 用還秩, 造作用還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사와 전교, 감결, 내관은 섞인 채 기술되어 있어서 항목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어렵다. 감결과 내관은 장생전이 관련 관서들과 주고받은 공문서들이다. 마지막에 예장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명단이 나오는데 의궤에는 「좌목」에 해당한다.
계사는 국장과 관련하여 기관이나 신하들이 국왕에게 아뢴 말이고, 그에 대한 국왕의 교지가 전교이다. 감결은 상위 기관에서 하급 관청에 실무 처리를 지시한 공문서이고, 내관은 상대 기관에서 보내온 공문에 답한 관문이다. 실입소화질은 실제로 들어간 물품 중 불에 태운 것을 기록해 놓은 항목이고, 용환질은 물건을 빌려 쓰고 나서 돌려주는 것을 기록한 항목이다. 별공작은 繕工監에 두던 임시 부서로 물건의 造作을 담당했는데, 그때 감역소 監造官도청(각 방에 소속된 낭청의 총괄 담당)에 올린 문서가 ‘별공작감역소수본질’이다. 조작용환질은 물건을 만들어 쓰고 나서 돌려준 물품을 정리한 항목이다.
특성 및 가치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효장세자예장도감의궤』(상·하)와 비교해 보면, 본서는 상·하책 모두에 해당한다고 보여진다. 다만, 규장각본은 상책이 결락되어 있고, 하책에는 別工作儀軌가 수록되어 있지 않아 규장각본과 상보적인 자료로서 의미가 크다.

참고문헌

孝章世子殯宮都監儀軌』(奎 14857)
[孝章世子]喪變時謄錄』(奎 13009)
孝章世子禮葬都監儀軌』(奎 14875)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이현진, 「정조대 文孝世子의 喪葬 의례와 그 특징」, 『奎章閣』40, 2012.

집필자

이현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