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철종대왕국장도감의궤(哲宗大王國葬都監儀軌)

자료명 철종대왕국장도감의궤(哲宗大王國葬都監儀軌) 저자 국장도감(國葬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哲宗大王國葬都監儀軌 , 철종대왕국장도감의궤(哲宗大王國葬都監儀軌n1-1책) 저자(이칭) 국장도감(조선) 편(國葬都監(朝鮮) 編) , , 國葬都監(朝鮮) 編
청구기호 K2-3022 MF번호 MF35-55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國恤·喪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국가문화재
· 작성시기 1863(철종 14년)
· 청구기호 K2-3022
· 마이크로필름 MF35-557
· 기록시기 1863~1864年(哲宗 14~高宗 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국장도감(國葬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4.9 X 31.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권(卷) 1책(冊)(전(全) 2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32.1×25.8㎝
· 인장 貳品奉使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63년(철종 14) 12월에서 1864년(고종 1)까지 철종의 國葬 때 국장도감의 설치와 운영, 담당 업무에 대해 국장도감에서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과 卷首題는 모두 ‘哲宗大王國葬都監儀軌’이다. 表紙書名 아래에는 단권임을 표시하는 ‘全’이 필사되어 있는데, 書根에는 ‘共四’로 總冊數가 표기되어 있으며 본서는 제2책이다. 上下向二葉花紋魚尾의 12행 界線의 印札空冊紙에 내용을 필사하였다. 채색한 班次圖를 수록하였으며 각 면에 ‘貳品奉使之印’이 날인되었다. 표지에 ‘哲宗大王國葬都監儀軌 全’이라고 쓰여 있으나 곧바로 『철종대왕국장도감의궤』권2의 一房儀軌가 시작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표지 서명은 후대에 쓴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철종국장도감의궤』(奎 13844) 4권 4책(一~四) 중 본서는 권2 제2책에 해당한다. 다만, 규장각본이 434면인데 비해 본서는 4면이 부족한 430면으로, 마지막 「工匠」항목 4면이 없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권2 한 책의 필사본이다. 一房儀軌와 二房儀軌로 구성되어 있고, 일방의궤와 이방의궤 사이에 班次圖가 있다. 일방과 이방은 각각 국장도감 조직의 한 부서이다. 이 반차도는 死者의 시신을 大轝에 싣고 산릉에 이르기까지 발인 행렬을 그린 發引班次圖이다. 각 방 의궤는 일반적으로 각 방의 담당 인원, 移文·來關·甘結 등 각종 공문서, 소요 물품의 종류 및 수량 등을 자세히 적어 놓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본서 일방에서는 大轝諸具, 肩轝諸具, 腰轝와 彩轝, 輪轝, 神輦, 副輦 등 국장에 필요한 각종 가마 및 여러 물품들을 제작하는 일을 담당했다. 이방에서는 吉儀仗·凶儀仗, 服玩, 明器, 鋪筵을 제작하는 일을 주관했다. 일방의궤와 이방의궤 둘 다 풍부한 圖說을 제공하고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에 실린 기록 중 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과 다른 점이 보이므로 철종의 상장례를 연구할 때 이 자료들을 함께 참조할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왕실 의례 중 흉례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임에 틀림없다. 특히 역사학은 물론 반차도와 도설의 경우 복식·미술·공예 분야에서도 많이 참조할 수 있는 문헌이다.

참고문헌

哲宗國葬都監儀軌』(奎 13844)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泰東古典硏究』27, 2011.

집필자

이현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