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정성왕후국휼의궤(貞聖王后國恤儀軌)

자료명 정성왕후국휼의궤(貞聖王后國恤儀軌)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정성왕후]국휼의궤([貞聖王后]國恤儀軌) , 貞聖王后國恤儀軌 저자(이칭) 장생전 , 長生殿(朝鮮) 編 , 장생전(長生殿編)
청구기호 K2-3008 MF번호 MF35-560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57(영조 33년)
· 청구기호 K2-3008
· 마이크로필름 MF35-56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4.6 X 29.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6.3×24.8㎝
· 인장 長生殿郞廳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57년(영조 33) 貞聖王后의 국상 때 梓宮의 제작과 운반 등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자료이다.
서지사항
연두색 표지에 ‘貞聖王后國恤儀軌’라고 表紙書名을 필사하였다. 표지와 본문 사이에 공격지가 한 장 있다. 匡郭과 界線을 12행으로 그리고 내용을 필사하였다. ‘長生殿郎廳印’을 각 면의 여러 곳에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정성왕후의 국상 때 장생전에서 주관했던 재궁의 제작이나 운반 등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본서의 내용은 1757년 2월 15일 정성왕후창덕궁 觀理閣에서 승하한 뒤 景薰閣에서 成殯한 내용으로 시작되며, 장생전에서 재궁단자를 올려 收字梓宮이 낙점되었다. 원래 2월 18일에 閏字 재궁을 들여 端陽門 안에 임시 안치하였으나 내부가 좁아 19일에 수자 재궁으로 변경하였다. 2월 25일 장생전에서는 재궁을 궐내에 배진하고 結裹할 때 필요한 도구 등을 기록해서 보고하였다. 이후 빈전도감을 비롯해 선공감이나 예조, 장생전, 국장도감, 병조, 훈련도감, 사옹원, 경기 감영 등과 왕래한 감결이나 이문 등이 수록되었다. 이 가운데는 예조에서 보고한 산릉에서 치러지는 각종 의식의 일시를 비롯해 外梓宮의 규식, 내외 재궁의 운반과 관련한 替運處가 명시되었다. 또한 병조에서 동원할 役軍의 인원수가 명시되었고, 이들의 운영과 관련된 應行節目이 수록되었다. 당시 동원된 역군은 주로 서울의 坊民과 시전 상인이었다. 5월 2일에는 外梓宮陪進時及習儀時班次가 마련되었고, 5월 6일에는 外梓宮陪進山陵下壙時及內梓宮下玄宮時所入雜物記와 함께 재궁 제작 등과 관련한 長生殿都提調以下書啓別單이 수록되었다. 이어서 實入秩과 燒火實入秩, 用還秩, 別工作手本秩, 造作進排秩 등이 수록되었으며, 마지막으로 감역관선공감봉사 柳發과 화원 徐德獜 등의 명단이 수록되었다.
특성 및 가치
영조 대 왕비의 국상을 이해하는 자료로 참고가 되며, 특히 장생전에서 주관하는 재궁의 제작과 운반 등을 주로 다루고 있어서 주목된다. 한편 의궤라는 이름으로 편찬되었으나 일반적인 의궤와 달리 일자순으로 기록되었다. 정성왕후의 국장과 관련해서는 본서 이외에도 장서각 소장의 『貞聖王后國恤草謄錄』(K2-3009)과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貞聖王后國葬都監儀軌』, 『貞聖王后殯殿都監儀軌』, 『貞聖王后魂殿都監儀軌』, 『貞聖王后弘陵山陵都監儀軌』 등이 참고가 된다.

참고문헌

정해은, 「영조 비빈 자료의 내용과 특징」, 『영조비빈자료집』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1.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