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인숙원빈궁예장의궤(仁淑元嬪宮禮葬儀軌)

자료명 인숙원빈궁예장의궤(仁淑元嬪宮禮葬儀軌) 저자 예조(조선)(禮曹(朝鮮)) 편(編)
자료명(이칭) [인숙원빈궁]예장의궤([仁淑元嬪宮]禮葬儀軌) 저자(이칭) 예장도감(조선)(禮葬都監(朝鮮)) , 장생전(조선)(長生殿(朝鮮)) 편(編) , 장생전(조선) 편(長生殿(朝鮮) 編)
청구기호 K2-2998 MF번호 MF35-560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국가문화재
· 작성시기 1779(정조 3년)
· 청구기호 K2-2998
· 마이크로필름 MF35-56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6.2 X 30.1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7.5×24.6㎝
· 인장 長生殿郞廳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79년(정조 3) 正祖의 후궁인 元嬪 洪氏의 禮葬 거행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연두색 표지를 사용하였으며 表紙書名과 卷首題 모두 ‘仁淑元嬪宮禮葬儀軌’이다.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의 12행 界線의 印札空冊紙에 내용을 필사하였다. ‘長生殿郎廳印’을 각 면의 여러 곳에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1책의 필사본이다. 목록 및 도청의궤, 각방 의궤 등이 없으며, 의궤 편찬 방식을 갖추지 않았다. 원빈 홍씨洪國榮(1748~1781)의 누이 동생이다. 1778년(정조 2)에 ‘원빈’이라는 작호와 ‘淑昌’이라는 궁호를 받고 嘉禮를 치르고 궁궐에 들어왔으나 1년도 안 되어 별세하였다. 시호는 ‘仁淑’이고, 園號는 ‘仁明’이다.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앞부분은 주로 梓室 조성에 관한 문서를 정리하였고, 뒷부분은 園所 조성과 發引 등에 관한 일에 대해 장생전예장도감·묘소도감·병조·호조·선혜청·훈련도감 등에서 주고받은 문서가 수록되어 있다. 1779년 5월 7일 丑時에 인숙원빈昌德宮 養心閤에서 薨逝하였다는 기록을 시작으로 도제조제조, 낭청 등이 회동하였다. 정조가 가장 좋은 재실을 마련하라는 傳敎를 내린 다음 재실을 조성하여 여러 차례 칠을 하고, 結裹한 다음 궐내에 잠시 안치하는 등의 일이 자세히 기재되었다. 이때에 필요한 인원과 물량 조달과 관련된 병조와 지방 관아 등에서 보낸 문서가 수록되어 있다. 특히, 재실의 가칠은 內梓宮銀釘上 10차례, 內梓室漆布 3차례, 漆布上加漆 7차례, 全體加漆 3차례를 행하였는데, 각각의 날짜와 시각을 기재하였다.
다음 園所 공역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면, 5월 15일 巳時에 일을 시작하였고, 6월 6일 외재실을 排進하였다. 7월 3일 발인과 下梓室을 하였다. 외재실 담배군 1巡을 134명으로 배정하였고, 引路軍·五部官員·平市署한성부·별공작 관원 및 예장도감 낭청 등으로 구성된 행렬의 班次도 미리 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의식을 거행할 때마다 필요한 잡물과 물량 등도 기재하였다. 장생전 書啓의 형식으로 도제조 영의정 金尙喆 이하 낭청을 비롯하여 선공감 봉사 등의 명단과 복무기일을 기재하였고, 棺匠·漆匠·木手 등 각종 장인들의 명단으로 殿員役工匠等別單, 別工作員役工匠等別單 등을 수록하였다. 끝으로 工匠의 假家 조성과 재실 조성에 소용된 물품 및 물량, 동원 인원 등을 기재한 別工作手本秩, 別工匠實入秩, 別工作用還秩 등이 실려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에는 국왕의 후궁 喪을 國喪으로 치른 경우가 거의 없다. 원빈의 예장은 매우 독특한 사례로 훗날 참람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순조 대에는 묘소의 호칭을 강등하였다. 따라서 본 의궤를 통하여 후궁과 관련된 의례 및 國喪의 사례 중 예외에 해당하는 實例를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정조 즉위 후 홍국영의 위세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藏書閣所藏儀軌解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2.

집필자

김세은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