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빈궁도감의궤(殯宮都監儀軌)

자료명 빈궁도감의궤(殯宮都監儀軌) 저자 빈궁도감(殯宮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殯宮都監儀軌 저자(이칭) 빈궁도감(殯宮都監 編) , 殯宮都監(朝鮮) 編
청구기호 K2-2951 MF번호 MF35-76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國恤·喪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28(영조 4년)
· 청구기호 K2-2951
· 마이크로필름 MF35-76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빈궁도감(殯宮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7.7 X 34.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6×26.5㎝
· 인장 奉謨堂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28년(영조 4) 11월 16일, 孝章世子(1719~1728)가 昌慶宮 進修堂에서 세상을 떠난 이후, 殯宮都監에서 효장세자를 장례 지내기 이전까지 빈궁에 모시는 기간 동안의 일체 사항을 종합하여 완성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는 녹색 雲寶紋緞을 사용하고 흰색 비단 제첨에 표지 서명 ‘殯宮都監儀軌’를 필사하였다. 表紙書名과 卷首題 및 書根題가 모두 같다. 표지 우측에 무늬가 새겨진 邊鐵을 대어 5개의 못으로 고정하고 못의 앞뒤로 菊花瓣을 대어 어람용으로 제작하였다. 그 가운데에 圓環 1개를 달았다. 본문은 朱色으로 匡郭과 界線을 그리고 내용을 필사하였다. 첫 면 우측 상단에는 ‘奉謨堂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조선시대 왕이나 왕비가 승하한 경우에는 국상을 관장하기 위하여 殯殿都監, 國葬都監, 山陵都監의 三都監이 설치되었다. 왕세자는 왕의 빈전과 달리 殯宮이라 하였고 도감의 이름도 殯宮都監이라 하여 차별하였지만, 기본적인 의식 절차 및 도감의 조직은 서로 유사하였다.
효장세자영조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靖嬪李氏이다. 그는 思悼世子의 형으로, 1724년(영조 즉위) 敬義君에 봉해지고, 이듬해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 나이 10세에 죽었다. 양자인 정조가 즉위하자 眞宗으로 추존되었다.
이 의궤는 殯宮都監都廳의 업무를 날짜별로 정리한 것으로, 효장세자의 사망 및 昌慶宮 時敏堂에 殯宮 설치, 그리고 장례를 치르기까지의 주요 행사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어서 殯宮都監 都提調 영의정 李光佐 등의 명단이 있고, 아울러 殯宮都監의 各房 분장 및 殯宮都監의 업무 중에 왕에게 품의하고 이에 대해 왕이 결재한 내용이나, 관련 부서에 지시한 공문 및 회답문 등 업무 수행에 관련된 기본적인 정보가 있다. 또한 각종 祭器 및 銘旌을 담당하는 一房의 호조정랑 金泰衍 등 담당자와 담당 업무, 成服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二房의 형조정랑 李蓍明 등 담당자와 담당 업무, 襲, 斂 등을 담당하는 三房의 공조정랑 邊佾 등 담당자와 담당업무, 그리고 이 업무 처리와 관련하여 稟目秩, 移文秩, 禮關秩, 儀註秩, 實入秩, 工匠秩 등이 실려 있다. 맨 뒤에는 의궤 제작에 참여한 당상관과 낭청 등의 명단이 실 려 있다.
특성 및 가치
왕세자의 장례를 치르기 전 빈궁에서 시행되는 각종 상례 절차와 의식 및 빈궁의 조직 등을 자세하게 보여줌으로써 조선시대 왕세자의 상례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집필자

최순권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