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고종태황제어장주감의궤(高宗太皇帝御葬主監儀軌)

자료명 고종태황제어장주감의궤(高宗太皇帝御葬主監儀軌) 저자 이왕직(李王職) 편(編)
자료명(이칭) 高宗太皇帝御葬主監儀軌 저자(이칭) 李王職 編
청구기호 K2-2921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國恤·喪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9
· 청구기호 K2-292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李王職)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2.5 X 29.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권(卷) 1책(冊)(전(全) 3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7.6×20.2㎝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19년에 昇遐한 고종황제(1852~1919)의 國葬과 관련된 사항을 정리한 의궤 3권 3책 중 일부이다.
서지사항
서명은 표지 서명을 따랐다. 장차는 ‘中’이다. 3卷 3冊 중에서 1卷 1冊만 있는 落帙本이다. 본문은 四周雙邊 上下向朱魚尾의 朱色 李王職 印札空冊紙에 기록하였다. 변란 위쪽에는 張次를 朱墨으로 기입하였다. 본문에는 종이를 오려 붙이는 등의 편집과 교열의 흔적이 있는데, K2-2920의 原稿本으로 보인다. K2-2922와 같은 秩이다. 目錄 제1면에는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1919년 1월 21일 慶運宮 咸寧殿에서 昇遐한 고종황제(1852~1919)의 국장과 관련된 거의 모든 사항을 정리한 『고종태황제어장주감의궤』의 卷上·卷中·卷下 3권 3책 가운데 권중이다. 권상과 권하는 결본이다. 조선에서는 국왕이 승하하면 국장도감, 빈전혼전도감, 산릉도감 등 삼도감을 임시로 설치하여 약 5개월 동안의 국장을 거행하였고, 각 도감의 의궤를 편찬하였다. 반면, 1919년 일제강점기에는 고종이 승하하자 어장주감, 빈전혼전주감, 산릉주감 등 삼주감을 설치하여 국장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의궤를 편찬하였다. 어장주감은 조선시대의 국장도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권중의 내용을 살펴보면, 목차가 있고, 「애책」과 「행장」, 「지석」, 「표석」을 비롯하여 「견여」, 「외재궁」, 「明器」 등 주로 국장을 거행할 때 필요한 중요 儀物 제작과 관련된 사항이 정리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현재 장서각에 같은 이름으로 조선의 의궤 제작 방식과 같이 편찬된 『고종태황제어장주감의궤』(K2-2920) 3권 3책이 소장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권중이 본 의궤와 내용이 동일하다. 본서는 K2-2920에 비해 크기가 절반 정도로 작으며, 의물 제작을 설명한 부분에서 몇몇의 경우 그림이 없거나 검은색으로 윤곽만 그려져 있다. 1919년 고종의 국장 관련 자료로서 2책이 결락되어 있지만 동명의 완결본인 K2-2920과 함께 살펴보면, 일제강점기에 거행된 고종황제의 국장 관련 사항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藏書閣所藏儀軌解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2.

집필자

김세은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