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고종태황제빈전혼전주감의궤(高宗太皇帝殯殿魂殿主監儀軌)

자료명 고종태황제빈전혼전주감의궤(高宗太皇帝殯殿魂殿主監儀軌) 저자 이왕직(李王職) 편(編)
자료명(이칭) 고종태황제빈전혼전주감의궤n2(高宗太皇帝殯殿魂殿主監儀軌n2) , 高宗太皇帝殯殿魂殿主監儀軌 , [고종태황제]빈전혼전주감의궤([高宗太皇帝]殯殿魂殿主監儀軌) 저자(이칭) 이왕직(李王職) , 이왕직 , 李王職 編
청구기호 K2-2918 MF번호 MF35-406~407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9
· 청구기호 K2-2918
· 마이크로필름 MF35-406~40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李王職)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8.0 X 20.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2책(冊)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19년 고종황제(1852~1919)의 國葬을 거행할 때에 殯殿·魂殿 설치 및 그와 관련된 의례 등을 정리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殯殿魂殿主監儀軌’이다. 장차는 ‘上’, ‘下’이다. 본문은 四周雙邊 上下向朱魚尾의 朱色 印札空冊紙에 기록하였다. 이 印札空冊紙의 板口 하단에는 ‘李王職’이라고 되어 있다. 변란 위쪽에는 張次를 朱墨으로 기입하였다. 본문에는 종이를 오려 붙이는 등의 편집과 교열의 흔적이 있는데, K2-2919의 原稿本으로 보인다. 目錄 제1면에는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권상·권하에 각각 목록이 있다. 1919년 1월 21일 고종慶運宮 咸寧殿에서 승하한 직후부터 빈전을 마련하여 梓宮을 안치하고, 각종 국장 의례를 거행한 다음 혼전에 虞主를 모시고 행한 虞祭 및 祭禮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였다. 현재 장서각에 내용은 거의 동일하지만 판본이 다른 同名의 의궤 『고종태황제 빈전혼전주감의궤』(K2-2919)가 소장되어 있다. K2-2919본은 조선의 의궤 제작 방식에 따라 편찬된 반면, 본 의궤는 크기도 작고 종이의 질도 좋지 않다. 또한, 권상의 마지막 부분에 실린 「도설」의 경우 K2-2919본에는 각종 채색 그림이 실려 있는 반면, 본 의궤에는 검은색으로 윤곽만 대강 그려져 있어 K2-2919본과 함께 살펴보지 않으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것도 있다. 기타 이에 대한 사항은 K2-2919 해제 참조.
특성 및 가치
조선에서는 국왕이 승하하면 국장도감, 빈전혼전도감, 산릉도감 등의 도감을 임시로 설치하여 국장을 거행하였고, 각 도감의 의궤를 편찬하였다. 반면, 1919년 일제강점기에는 고종이 승하하자 어장주감, 빈전혼전주감, 산릉주감 등 삼주감을 설치하여 국장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의궤를 편찬하였다. 현재 장서각에는 『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K2-2284, K2-2285), 『高宗太皇帝殯殿魂殿主監儀軌』(K2-2918, K2-2919), 『高宗太皇帝御葬主監儀軌』(K2-2920, K2-2921) 등의 의궤가 모두 소장되어, 일제강점기에 거행된 국장의 전 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藏書閣所藏儀軌解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2.

집필자

김세은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