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대왕대비전가상존호도감의궤(大王大妃殿加上尊號都監儀軌)

자료명 대왕대비전가상존호도감의궤(大王大妃殿加上尊號都監儀軌) 저자 상호도감(上號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大王大妃殿加上尊號都監儀軌 저자(이칭) 上號都監 編
청구기호 K2-2798 MF번호 MF35-51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尊崇·尊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52(철종 3년)
· 청구기호 K2-2798
· 마이크로필름 MF35-51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상호도감(上號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5.3 X 33.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2.0×25.5㎝
· 인장 壹品奉使之印,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52년(철종 3) 2월에 純祖의 妃 純元王后에게 尊號를 加上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과 서근제는 ‘上號都監儀軌’이다. 표지 장황은 무늬가 없는 붉은색 종이로 하였다. 표지의 우측에는 ‘咸豊二年壬子正月日哲宗三年’이라는 墨書가 있다. 책차는 ‘全’이다. 본문은 四周單邊에 上二葉花紋魚尾인 木板 印札空冊紙에 12行 24字로 기록하였다. 뒤표지 이면에 ‘大正八年十二月日改修’라는 개장 기록이 있다. 目錄이 있는 제1면에 ‘李王家圖書之章’과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이 날인되어 있으며 본문에 ‘壹品奉使之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에 따르면, 순원왕후에 대한 존호 가상 논의는 1851년 12월부터 있었으며, 순원왕후가 수렴청정을 거둔 것을 기념하여 그 덕을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존호를 가상하였다. 순원왕후에게는 이전까지 5차례에 걸쳐 ‘明敬, 文仁, 光聖, 隆禧, 正烈’의 존호가 올려진 바 있었으며, 이때의 가상을 통해 ‘宣徽’라는 존호가 더해졌다.
본서의 첫머리에는 의궤 전체의 목차를 정리한 「目錄」이 실려 있으며, 본문은 擧行日記·座目·承傳·財用·甘結·移文·來關·禮關·儀註·賞典·儀軌事例·一房·二房·三房·別工作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행일기」는 1852년 1월 12일 존호도감 관원의 임명부터 2월 13일 존호 가상 의식의 거행까지 도감 운영과 행사 진행 과정을 날짜순으로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좌목」에는 都提調·提調·都廳·郎廳·監造官 등 도감 관원들의 명단이 정리되어 있다. 도제조金興根, 제조徐憲淳·金左根·李啓朝·李鶴秀 등이 담당하였다. 「승전」에는 존호 가상과 관련하여 왕이 내린 傳敎와 도감의 보고 내용이 실려 있다. 「재용」은 행사에 소요된 비용 내역을 정리한 것으로, 戶曹로부터 쌀[米] 50石, 兵曹로부터 무명[木] 3同과 동전[錢] 800兩을 조달하여 사용했음이 확인된다. 「감결」·「이문」·「내관」·「예관」은 행사 준비 과정에서 도감과 각 관서 사이에 주고받은 공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의주」는 존호 가상 의식의 구체적인 절차를 기록한 것이며, 「상전」에는 행사 종료 후 도감 관원들을 시상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의궤사례」에는 본 의궤의 제작 과정이 실려 있는데, 본 의궤는 총 6건을 제작되어 규장각·춘추관·예조태백산·오대산·적상산 사고에 각각 1건씩 분상되었다. 장서각 소장본은 적상산 사고에 보관되었던 책이다.
「일방의궤」·「이방의궤」·「삼방의궤」와 「별공작의궤」는 도청 예하의 일방·이방·삼방 및 별공작에서 수행한 업무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일방은 玉冊 및 관련 물품들과 班次圖를 제작하였고, 이방은 金寶 및 관련 물품들을 제작하였다. 삼방은 각종 儀仗物들을 준비했으며, 별공작은 각 방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들을 제작·조달하였다. 각 방 의궤에는 공통적으로 소속 관원과 匠人의 명단, 업무 관련 공문서의 내용, 업무 수행에 소요된 물자와 비용 내역, 각 방에서 제작한 물품의 圖說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 일방의궤에는 玉冊文의 내용, 옥책을 外櫃에 넣는 절차인 封裹式, 班次圖 등이 실려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존호 가상 의식의 진행 과정이 구체적으로 정리되어 있어서 조선 왕실의 의례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당시의 경제·사회·생활의 실상을 보여주는 많은 정보들을 수록하고 있어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哲宗實錄
서울대학교 규장각 편, 『규장각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편,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1~3), 2005.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