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摹寫都監儀軌)

자료명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摹寫都監儀軌) 저자 영정모사도감(影幀摹寫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影幀摹寫都監儀軌 저자(이칭) , 影幀摹寫都監(朝鮮) 編 , 영정모사도감(影幀摹寫都監 編)
청구기호 K2-2768 MF번호 MF35-758~75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御眞圖寫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국가문화재
· 작성시기 1901(광무 5년)
· 청구기호 K2-2768
· 마이크로필름 MF35-758~75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영정모사도감(影幀摹寫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4.7 X 32.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철장(鐵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1.0×25.5㎝
· 인장 壹品奉使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0년(광무 4) 윤8월부터 1901년(광무 5) 4월까지 운영된 영정모사도감에서 태조 고황제숙종대왕, 영조대왕, 정조대왕, 헌종대왕, 순조대왕, 문조의 영정 舊本을 移摹하여 선원전에 봉안하기까지 주요 일정과 관련 도설을 함께 엮은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과 권수제는 ‘影幀摹寫都監儀軌’이며, 서근제는 ‘辛丑影幀摹寫都監儀軌’이다. 鐵裝本으로, 표지는 붉은색 麻재질로 되어 있다. 片鐵에 菊花童 3개가 있으며, 앞표지에만 圓環이 있다. 표지 좌측에 표지 서명이, 우측에 ‘璿源殿上 /光武五年(1901)辛丑五月日’이란 글이 2행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筆寫本이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 12행, 上下向二葉黑魚尾의 印札空冊紙를 사용되었다. 본문의 곳곳에 ‘壹品奉使之印’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座目, 日時, 詔勅, 標題, 도설, 품목, 재용, 照會, 훈령, 通牒, 來報, 來牒, 甘結, 의주, 賞典, 의궤사목, 반차도 순서로 구성되었다. 「좌목」에 의하면 도제조가 8월 심순택이었으나, 9월 윤용선으로 체임되었다. 제조민영환, 신기선, 김석진, 조희일, 낭청 심계택, 서만순, 서내염, 이호집, 신유선, 조한상, 박희양 이하 감조관, 장무원, 雇員, 사고직, 사령, 사환 등의 명단이 있다.
「시일」에 의하면, 1900년 윤8월 22일 도감 당상과 낭청을 임명하였고, 9월 1일 장악원에서 회동하였다. 9월 6일 도감을 영선사에 설치하였고, 9월 28일 준원전, 영희전, 冷泉亭, 平樂亭에 봉안된 7聖朝 영정을 모셔와 흥덕전에 봉안하였다. 이날 친림하여 펼쳐 봉안한 후 작헌례를 행하였다. 이후 10월 10일부터 12월 16일까지 태조, 숙종, 영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의 어진 모사를 마치고, 7성조의 영정 초부본을 세초하여 태웠다. 12월 17일 숙종대왕 구본 영정과 순조숙황제 구본 영정을 영희전에 환안하고, 영조대왕 구본 영정을 냉천정에 환안하였고, 정조선황제 구본 영정과 문조익황제 구본 영정, 헌종대왕 구본 영정을 평낙정에 환안하였다.
1901년 정월 10일 준원전태조고황제 영정을 慶運堂에 임시 봉안하고, 眞殿의 列聖朝 영정을 중화전에 임시 봉안한 후 도감 당상직을 폐지하였다. 3월 11일 태조고황제 구본 영정을 모시고 출발하여 3월 21일 준원전에 환안하였다. 4월 27일 7성조 영정을 선원전에 봉안하였고, 이날 작헌례를 親行하였다. 5월 11일 선원전 각실 영정을 肅敬齋에 이안하였다. 5월 26일 각실 영정을 선원전에 환안하고 도감 낭청직을 폐지하였다.
「조칙」에 의하면, 영정 이모의 주관화원은 조선진채용신이고, 동참화원은 전수묵, 백희배, 윤석영, 조재흥, 박용훈, 서원희, 홍의환, 이기영, 김기락, 강필주, 김제순, 이경환, 유의련 등이었다. 당시 영정모사도감에서 이모한 선원전 영정은 제1실은 무술년 이모한 준원전 태조대왕 익선관본, 제2실은 무진년 이모한 영희전 숙종대왕 익선관본, 제3실은 갑자년 도사한 냉천정 영조대왕 익선관본, 제4실은 신해년 도사한 평낙정 정조대왕 원유관본, 제5실은 경인년 도사한 영희전 순조대왕 원유관본, 제6실은 병술년 도사한 평낙정 문조대왕 면복본, 제7실은 병오년 도사한 평낙정 헌종대왕 익선관본을 모사한 것이었다.
「표제」는 제1실 太祖高皇帝御眞(光武四年 庚子摹寫), 제2실 肅宗大王御眞(光武四年 庚子摹寫), 제3실 英祖大王御眞(光武四年 庚子摹寫), 제4실 正祖宣皇帝御眞(光武四年 庚子摹寫), 제5실 純祖肅皇帝御眞(光武四年 庚子摹寫), 제6실 文祖翼皇帝御眞(光武四年 庚子摹寫), 제7실 憲宗大王御眞(光武四年 庚子摹寫)이었다.
「도설」은 唐家, 浮龍, 流音風穴, 오봉병, 오봉병挾幅, 용상과 踏掌, 陞窓교의, 降眞香, 은잠, 유소, 향로, 향합, 향상, 黃貢緞양산, 삽병, 玉盞과 잔대, 은병, 匙箸 등을 채색 필사하였다.
「재용」은 탁지부에서 錢 1,101,960냥 4전을 가져와 871,010냥 2전 3푼을 선원전 중건도감으로 이송하고, 9115냥 4푼을 영희전 내각합 개수비로 이송하였다. 그 밖에 도감 낭청감조관, 별간역, 사령, 사환의 월급과 제색 공장의 일급을 지급한 내역을 기록하였다.
화원은 영정 모사에 참여한 화원 외에도 오봉병, 삽병, 모란병, 매화 障子, 海蟠桃屛, 반차도 제작에 참여하였다. 반차도는 총 86면으로 태조고황제, 숙종대왕, 영조대왕, 정조선황제, 순조숙황제, 문조익황제, 헌종대왕 영정을 이모한 후 선원전에 봉안할 때 행렬 반차를 그린 것이다.
특성 및 가치
1900년 윤8월부터 1901년 4월까지 운영된 영정모사도감에서 태조고황제숙종대왕, 영조대왕, 정조대왕, 헌종대왕, 순조대왕, 문조의 영정 舊本을 移摹하여 선원전에 봉안할 때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적고 있으며, 대한제국기의 특징을 보이는 儀器 도설이 잘 나타나 있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