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摹寫都監儀軌)

자료명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摹寫都監儀軌) 저자 영정모사도감(影幀摹寫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影幀摹寫都監儀軌 저자(이칭) 影幀摹寫都監(朝鮮) 編 , 영정모사도감(影幀摹寫都監 編)
청구기호 K2-2766 MF번호 MF35-75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御眞圖寫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0(광무 4년)
· 청구기호 K2-2766
· 마이크로필름 MF35-75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영정모사도감(影幀摹寫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3.5 X 33.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철장(鐵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1.0×25.4㎝
· 인장 壹品奉使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9년(광무 3) 11월부터 1900년(광무 4) 4월까지 운영된 영정모사도감에서 영흥 준원전태조 어진본을 移摹하여 선원전에 봉안하기까지 주요 일정과 관련 도설을 함께 엮은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影幀摹寫都監儀軌 全’이며, 권수제는 ‘影幀摹寫都監儀軌’, 서근제는 ‘庚子 影幀摹寫都監儀軌 全’이다. 鐵裝本으로, 표지는 붉은색 麻재질로 되어 있다. 片鐵에 본래 菊花童 3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중 상하의 2개가 탈락하였다. 표지 좌측에 표지 서명이, 우측에 ‘光武四年(1900)庚子四月日 /璿源殿上’이란 글이 2행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 12행, 上下向二葉黑魚尾의 印札空冊紙를 사용되었다. 본문의 곳곳에 ‘壹品奉使之印’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座目, 日時, 詔勅, 標題式, 도설, 품목, 재용, 照會, 훈령, 通牒, 來報, 來牒, 甘結, 의주, 賞典, 의궤사목, 반차도 순서로 구성되었다. 「좌목」은 도제조 윤용선, 제조 민영환, 김석진, 이헌영, 이용식, 도청 김덕한, 신양균, 낭청 윤영수, 조한상 이하 감조관, 雇員, 사령, 사환 등을 기록하였다.
「일시」는 1899년 11월 29일 도감 당상과 낭청이 임명되고, 12월 9일 장악원에서 도감이 회동하였다. 12월 13일 宗正院에 도감을 설치하였다. 1900년 3월 19일 도감을 종정원에서 興德殿 西行閣으로 이설하였다. 당시 영정모사도감영희전영건도감과 합설하여 운영되었다. 3월 21일 준원전 영정을 경성으로 들여와 흥덕전에 봉안하였고, 황제가 친림하여 어진을 펼쳐 봉안한 후 작헌례를 행하였다. 3월 23일 영정 유지본 모사를 시작하였고, 3월 26일 영정 유지본의 墨 모사를 마쳤다. 3월 27일 영정 구본과 유지 모사본을 황제가 친림하여 어진을 펼쳐 봉심하였다. 3월 28일 영정 舊本과 유지 모사본을 친림하여 봉심하였다. 3월 29일 영정 유지 신본을 다시 모사하였다. 4월 1일 영정 구본과 追摹한 유지 2본을 친림하여 펼쳐 봉안하고 분향하였다. 4월 2일 모사 유지본에 채색을 시작하여 4월 3일 유지본 채색을 마쳤다. 4월 4일 영정 구본과 유지 신본을 친림하여 봉심하였다. 4월 6일 영정 정본 上綃를 시작하여 4월 7일 영정 상초 정본에 채색하였다. 4월 8일 영정 구본을 친림하고 別茶禮를 행하였다. 4월 13일 영정 정본에 채색을 마쳤고 정본 後褙를 시작하였다. 4월 14일 영정 후배를 마친 후 친림하여 봉심하였다. 이때 선원전 제6실의 文祖翼皇帝 어진 보완 작업도 동시에 완료하였다. 4월 15일 장황을 시작하였고, 표제를 고종황제가 친서하였다. 작헌례를 친행하고 粧軸을 시작하여 선원전 각실 영정을 移安廳에 이안하였다. 4월 16일 장축을 완료하였다. 4월 17일 영정 신본을 친림하여 봉심하고 영정 草副本을 세초하고 燒火하였다. 이날 영정 신구본을 흥덕전에 봉안하였다. 4월 18일 작헌례를 친행하고 영정 구본을 준원전 還奉을 告하는 動駕祭를 친행하였다. 4월 19일 준원전으로 영정 구본을 모시고 출발하였고, 4월 24일 영정 신본을 선원전에 봉안하였다. 이날 각 실의 영정을 선원전에 환안하였다. 4월 25일 도감 당상과 낭청의 직책을 거두었다. 4월 28일 영정 구본을 준원전에 환안하였다.
「도설」에는 降眞香, 軸上鍍黃金銀圓環排目菊花童具, 銀龍頭簪, 黑長樻, 흑장궤 外裏匣, 용상, 하평상, 踏掌, 유소, 陞降龍絡纓, 삽병 등을 채색으로 그려 삽입하였다.
「재용」에 의하면, 영정 모사의 비용은 탁지부에서 영정모사도감비로 錢 724,961兩 6錢 7分을 가져왔고, 영희전영건도감비로 563173兩 8錢 8分을 가져왔다. 영정모사도감 화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영정 모사의 주관화원은 조석진, 채용신이었고, 동참화원은 홍의환, 박용훈, 이기영, 김기락, 외방화원 당칠주, 백은배, 서원희였다. 圖畵主事윤석영, 조재흥, 백희배, 전수묵이 참여하였다. 또한 오봉병 起畵는 김제순, 이인영, 노창호, 유치원, 유영준, 최종겸, 안석로, 홍태형, 변종학, 황지곤, 백낙선, 김종국, 이흥주, 이덕하가 참여하였고, 반차도의 기화는 박창수, 지태원이 참여하였다. 반차도는 內入 文班次圖 1건, 어람용과 황태자궁에 올릴 반차도 2건을 제작하였다. 권미의 26면으로 구성된 반차도는 영흥 준원전태조 고황제의 영정을 선원전에 봉안할 때의 행렬 반차를 그린 것이다. 이 의궤는 총 7건이 제작되어 규장각, 시강원 각 1건, 선원전, 비서원, 의정부, 장례원, 강화사고에 頒賜되었다.
특성 및 가치
1899년(광무 3) 11월부터 1900년(광무 4) 4월까지 운영된 영정모사도감에서 영흥 준원전태조 어진본을 移摹하여 선원전에 봉안하기까지 주요 일정과 관련 도설, 반차도를 함께 엮어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당시 도감의 운영 경비, 영정 모사에 참여한 화원의 이름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경제사적, 미술사적으로도 중요한 사료이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