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어진도사도감의궤(御眞圖寫都監儀軌)

자료명 어진도사도감의궤(御眞圖寫都監儀軌) 저자 어진도사도감(御眞圖寫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御眞圖寫都監儀軌 저자(이칭) , 御眞圖寫都監(朝鮮) 編
청구기호 K2-2758 MF번호 MF35-56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御眞圖寫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국가문화재
· 작성시기 1901(광무 5년)
· 청구기호 K2-2758
· 마이크로필름 MF35-561
· 기록시기 1901~1902年(光武 5~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어진도사도감(御眞圖寫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4.5 X 31.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철장(鐵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2.1×25.0㎝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1년(광무 5) 9월부터 1902년(광무 6) 5월까지 고종황제와 황태자의 어진 도사와 관련하여 어진도사도감에서 작성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御眞圖寫都監儀軌 全’이며, 권수제는 ‘御眞圖寫都監儀軌’이다. 鐵裝本으로, 표지는 붉은색 비단으로 되어 있다. 片鐵에 菊花童 5개가 있으며, 앞표지에만 圓環이 있다. 표지 서명은 파란 테두리를 한 흰 종이에 기재하여 표지 좌측에 붙여 놓았다. 筆寫本이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雙邊 12행 朱絲欄, 上下向二葉朱花紋魚尾의 印札空冊紙를 사용되었다. 본문 중 글자를 지우고 수정한 흔적이 남아 있다. 본문 중 圖說과 班次圖 등의 삽도가 있다. 장서각에 동일한 서명과 내용의 책 1부(K2-2757)가 소장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 의궤의 목록은 좌목, 時日, 詔勅, 표제, 도설, 품목, 財用, 照會, 훈령, 통첩, 來報, 來牒, 감결, 의주, 賞典, 의궤사목, 반차도 순서이다.
「좌목」에는 도제조 윤용선, 제조 민영환, 윤정구, 이원일, 도청 남자희, 이종형, 낭청 이세영, 이원용 외에 감조관, 장무원, 雇員, 사령, 사환의 이름이 차례로 나열되었다. 「시일」에 의하면, 1901년 9월 28일 도감 당상과 낭청을 임명하고, 10월 2일 법규교정소에서 도감이 회동하였다. 1902년 2월 3일 前 營繕司에서 화원들의 試才가 있었고, 2월 10일 壽仁堂 밖 北行閣으로 도감을 옮겼고, 고종황제靜觀軒에 납시었고, 황태자가 侍坐하였다. 이날 황제 어진 면복 유지본 圖寫를 시작하였고, 황태자의 睿眞 면복 유지본 도사를 시작하였다. 2월 22일 정관헌에 황제와 황태자가 시좌하였고 어진과 예진 익선관 유지본 도사를 시작하였다. 이후 어진 및 예진의 익선관본, 군복본, 번복본 도사를 마치고, 5월 18일 어진과 예진 도사 유지본 세초, 어진과 예진 도사 정본을 欽文閣에 봉안하였다. 이날 임신년 도사한 어진 면복본 1본, 군복 대본 1본 소본을 세초하였다. 8월 16일 흠문각에 봉안한 어진 익선관본 예진 익선관본을 평양에 봉안하기 위해 출발, 8월 23일 어진과 예진 평양관사에 임시 봉안, 10월 12일 어진과 예진을 豐慶宮에 봉안하기 위해 평양관사에서 출발하여 어진을 풍경궁太極殿에, 예진을 풍경궁 重華殿에 봉안하였다.
「조칙」에서는 掌禮院에서 어진 도사의 길일을 추택한 점이 주목되며, 1902년 2월 10일 어진도사도감에서 도사의 주관화사를 장례원 주사 조석진, 전군수 안중식으로, 동참 圖畵主事朴鏞薰, 수종 도화주사洪義煥, 全修默, 白禧培, 尹錫永, 趙在興으로 추천하였다. 이날 어진 도사 시 服色을 기존 등록을 상고하여 금번 어진은 면복, 곤복, 군복본을 도사하고 예진 도사 시 복색도 면복, 곤복, 군복본을 도사하기로 결정하였다. 5월 1일 수종화원 홍의환을 동참화사로 정하였다.
어진의 표제는 ‘御眞, 純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功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巍勳洪業啓基宣曆乾行坤定英毅弘休皇帝御眞 (光武六年壬寅五月圖寫) 春秋五十一歲’라고 썼다. 예진의 표제는 ‘睿眞, 春秋二十九歲眞(光武六年壬寅五月圖寫)’라고 썼다.
「도설」에는 용상, 용교의, 어좌탑, 예좌탑, 雅佳床, 香佐兒, 机, 鳩杖, 오봉병, 삽병, 흑장궤, 護匣, 향로, 향합 등 어진 도사와 관련한 儀具를 그렸다. 「품목」에는 어진 도사에 필요한 각종 물품의 제조와 관련한 상세한 기록이 있다. 「실입」은 비단, 포, 종이, 붓, 채색 안료, 먹, 목판, 책상 등과 병풍장, 목수장, 소목장, 조각장, 豆錫匠, 목혜장, 양산장 등 어진 제작에 필요한 도구에 대한 기록이다. 「재용」은 탁지부에서 錢 34074元 18錢 6厘을 가져왔으며, 도감 낭청, 감조관, 별간역, 사령, 사환 등의 월급인 月銀式, 도감 各色 工匠의 日給인 匠料式의 비용을 기록하였다. 「조회」는 탁지부에서 어진 도사 시에 지출된 비용을 일자별로 기록하였고, 「훈령」은 경기 관찰사, 황해 관찰사, 평안남도 관찰사 등에게 어진과 예진을 평양에 임시 봉안할 때 행로의 각 관청에 보내는 지시 사항을 적었다. 「통첩」은 太醫院, 규장각, 侍從院, 상의원 등에 대한 지시 사항과 그에 대한 이행 사항을 기록하였다. 「내보」는 훈령에 대한 경기, 황해, 평안남도 관찰사의 지시에 대한 이행 사항을 직접 보고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내첩」은 각 기관의 통첩에 대한 이행 사항에 대한 검토와 그에 대한 보고 사항을 기록하였다. 「의주」는 어진과 예진을 흠문각에 봉안할 때의 의주, 어진과 예진을 서경관사에 권안할 때의 의주, 어진을 서경에 봉안할 때 황태자의 지영의주를 기록하였다. 「상전」에서 화원에 대한 상전은 주관화원에게는 지방 수령의 우선적 고용, 동참화원과 수종화원에게는 승급을 내려 주었다.
권미에는 어진과 예진을 평양풍경궁에 임시 봉안하기 위해 御眞輦과 睿眞輦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행렬의 반차를 26면에 걸쳐 채색으로 필사한 〈御眞睿眞奉往西京敎時自京畿至豐慶宮奉安班次圖〉가 있다.
특성 및 가치
1901년 9월부터 1902년 5월까지 고종황제와 황태자의 어진 도사와 관련한 도감의 구성원, 주요 일정과 의론, 의주, 비용 등과 어진을 봉안하기 위해 이동하는 행렬 반차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사료이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