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경기전영정후면가배등록(慶基殿影幀後面加褙謄錄)

자료명 경기전영정후면가배등록(慶基殿影幀後面加褙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慶基殿影幀後面加褙謄錄 저자(이칭) 예조 , 全羅道 編 , 전라도(조선) 편(全羅道編)
청구기호 K2-2752 MF번호 MF35-635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64(영조 40년)
· 청구기호 K2-2752
· 마이크로필름 MF35-63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1.6 X 28.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3.6×22.4㎝
· 인장 全羅道監司監營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63년(영조 39) 7월 25일부터 1764년(영조 40) 2월까지 전라도 전주 慶基殿에 봉안된 태조 어진의 후면에 배접하는 과정을 기록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개장 표지 서명은 ‘慶基殿影幀加褙謄錄 全’이며, 권수제는 ‘慶基殿影幀後面加褙謄錄’이다. 표지는 황색이며, 주황색 실을 사용하여 五針으로 장정한 線裝本으로, 후대에 개장한 것으로 보인다. 표지의 좌측에는 표지 서명이 기재되어 있다. 앞 공격지 우측 하단에 ‘慶基殿影幀後面加褙謄錄 單’이란 띠지가 붙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 11행 烏絲欄,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의 印札空冊紙가 사용되었다. 본문의 곳곳에 ‘全羅道監司監營之印’이 날인되어 있으며, 卷末에는 禮曹堂上全羅監司의 署押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구성은 먼저 어진의 수보에 참여한 예조참판, 전라감사, 전주판관 등 관원 및 공장의 좌목을 적었다. 공장 중에는 내수사 배접장인 金益瑞를 비롯하여 도배장, 철장변수, 목수변수 등의 명단이 자세하다. 그 뒤 등록에는 어진의 훼손 사실을 상부에 올린 보고 단계, 이에 대한 봉심 단계, 수보 여부에 대한 논의 단계, 구체적 수보 처리 단계를 상세히 밝히고 있다. 권미에는 각 수보 단계에 소용된 물목과 그 수량을 정리하였고, 맨 뒷장에는 예조참판 徐命膺전라감사 沈履之의 署押이 있다.
태종 연간 개국시조인 태조의 어진은 전주 경기전, 경주 集慶殿, 평양 永崇殿, 개성 穆淸殿, 영흥 濬源殿 등 전국에 안배하여 건립된 影堂에 봉안되었다. 이 중 경기전 어진은 1763년 수보 전까지 1410년 봉안된 原本이 3백여 년 넘게 보존되고 있었다.
1763년 7월 25일 전라감사가 조정에 올린 장계에 의하면, 경기전 참봉 申敬日경기전 어진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음을 전라감사에게 보고하였다. 이에 전라감사전주판관 李謙鎭경기전 참봉을 대동하고 세 차례에 걸쳐 봉심한 뒤 소견을 예조에 보고하였다. 그해 8월 3일 영조예조판서 具允明에게 직접 내려가 봉심할 것을 전교하였고, 구윤명은 9월 26일 전라감사 박상덕, 전주판관 김상묵, 경기전 참봉 정재원과 함께 경기전 어진의 봉심을 마치고 돌아와 영조에게 복명하였다. 구윤명경기전 영정의 어용 좌우 눈 위, 눈썹 우측, 좌우 뺨 위, 좌측 귓문, 좌우 귓바퀴, 우측 턱, 좌우 입술 아래 각 1처 곳곳에 좀이 먹었으며, 우측 눈 아래 2처, 좌우 눈 아래 각 1처, 눈썹 양쪽 사이 1처, 우측 뺨 위 1처, 좌측 귓바퀴 2처, 좌측 수염 1처 등이 들떠 있는 상태를 보고하였다. 1741년(영조 17)1755년(영조 31) 예조 당상이 봉심한 후 書啓에서 보고된 곳 외에도 1763년 봉심에서는 龍袍, 御榻과 그 외의 상하좌우에서 많은 상흔이 새로 발견되었다. 또한 상하 繪粧의 위 5처에 구멍이 생겼고, 아래 2처가 찢어졌다. 후면에 좀이 먹은 곳은 1742년(영조 18) 이미 수보하였으나 어용의 눈썹 사이가 오목하게 들어간 곳은 事體가 중대하다고 보고하였다.
이후 10월 6일 晝講에서 영조가 대신들과 어진을 수보하는 일에 대해 논의한 결과 前面 개수는 신중해야 하므로, 안전하게 후면 전체를 이듬해 2월까지 기다려 廣綃를 미리 직조하여 褙接을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어진의 修改 길일은 日官이 택한 길일인 1764년 2월 25일 묘시로 정해졌다.
어진의 수보 과정에서 배접 아교는 호조로부터 조달하였고, 경기전 영정의 수개 시에 소용될 褙板과 褙曬機 등의 나무는 좌우수영 관할 封山에서 조달하였다. 태조 어진의 수보는 후면의 전체를 배접하여 붙이는 것과 전면 어진의 곤룡포와 어탑에 眞彩하고, 어진의 눈썹 사이 오목한 부분과 우측 턱수염 쪽의 떠 있는 부분, 후면 위쪽 繪粧도 보수하였다. 또한 전라도 관찰사의 주관으로 영정을 가배할 때 경기전의 정전과 정자각, 담장, 별전 등 건축물에 대한 보수도 1742년 壬戌謄錄에 의거, 전라도 各邑에 나누어 차비하여 동시에 진행하도록 하였다.
특성 및 가치
장서각에만 소장된 유일본으로, 영조 연간 태조 어진 수보 과정에서 발생한 현안에 대한 논의와 소용 물자가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장서각 소장 『영정보수도감등록』(K2-2769), 『영정수보등록』(K2-2771)과 함께 어진 보존 처리와 관련하여 함께 참조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