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정미가례시일기(뎡미가례시일긔(丁未嘉禮時日記))

자료명 정미가례시일기(뎡미가례시일긔(丁未嘉禮時日記))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뎡미가례시일긔 , 정미가례시일기(뎡미가례시일긔) 저자(이칭) 가례도감(조선) 편(嘉禮都監(朝鮮) 編) , 嘉禮都監(朝鮮) 編 , 미상
청구기호 K2-2708 MF번호 MF35-852
유형분류 고서/일기 주제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史部-政書類-典禮-嘉·賀禮
· 작성시기 1847(헌종 13년)(丁未)
· 청구기호 K2-2708
· 마이크로필름 MF35-852
· 기록시기 1847年(憲宗 13)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5.2 X 25.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47년(헌종 13)에 치러진 憲宗(1827~1849)과 후궁 慶嬪 金氏의 嘉禮와 관련하여 그 의식 절차와 需用 物目 등을 한글로 기록한 자료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嘉禮日記’이며, 권수제는 ‘뎡미가례시일긔’이다. 표지는 녹색 비단으로 장황한 線裝本으로, 국화 문양이 있다. 표지 서명은 흰 종이에 기재되어 표지 좌측에 붙어 있다. 표지 우측 상단에는 ‘丁未’라는 간지가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無郭, 無絲欄, 無版心의 楮紙를 사용하였다. 한글로 기재하였는데 궁서체로 쓰여 있으며, 고유어를 그대로 표기한 경우가 많다. 장서각에는 같은 사건에 대해 작성한 6책의 『졍미가례시일긔』(K2-2709)가 소장되어 있는데, 같은 사건에 대해 다루고 있으나 책의 구성 방식이 다르다. K2-2708이 가례 절차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한 데 반해, K2-2709는 물목의 종류를 중심으로 개별 책자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체제 및 내용
이 책에는 첫 부분에 초간택, 재간택, 삼간택, 冊嬪日, 납폐일, 가례일 등 가례 절차별 날짜 및 행사 참여자 등 관련 사항이 기록되어 있고, 이어서 해당 가례와 관련된 差備官발기, 의복 혹은 의대 발기, 의차발기, 패물발기, 연모발기, 예물발기, 기명발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差備官발기는 가례일시동, 동뇌연 대뎐시위, 빈궁위, 빈시위, 대왕대비뎐/왕대비뎐/됴현례시위, 빈궁위 등의 발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差備官 발기를 통해 헌종경빈 김씨 가례 때 동원된 인원의 규모를 대략 짐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간택 出闕時에는 六人橋의 가마꾼으로 龍洞宮의 남자 종 6명이 동원되었는데, 이들은 黑衣를 입었다. 삼간택 本宮 출궐 시에는 가마의 侍陪內人으로 16인이 동원되었고, 後陪內人으로 4인이 동원되었고 가례 시의 侍陪도 삼간택 본궁 출궐 때와 동일한데, 騎行內人 4인과 步行內人 4인이 더 추가되었다.
의복 혹은 의대 발기로는 「삼간 으로 보내 의복, 삼간 의복, 가례 시의 /기소, 가례시 의복/기소, 동됴의셔 오신 의/의복 기소, 무신츈 진연 밋 치사 의복, 삼질 의복, 팔일/단오 의복, 십일월이십뉵일관녜시의복」 등의 발기가 수록되어 경빈 김씨헌종의 가례와 관련한 복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 의복 혹은 의대 발기 중에는 가례가 치러진 정미년의 다음 해인 戊申年의 進宴 및 致詞, 3월 3일, 4월 8일, 5월 5일의 의복에 대한 내용까지 수록하고 있어 가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이후의 행사와 관련된 기록까지 포함되어 있다. 또 가례 때 간택 처녀들이나 경빈 김씨의 가족 혹은 상궁이나 나인에게 내린 옷감과 관련된 발기인 「삼간/간 처녀의 , 동됴의셔도 의 주오시니」 등의 衣次발기뿐 아니라 삼간택 때와 관례 때 경빈 김씨에게 보낸 패물과 관련된 발기인 「삼간 별궁으로 가온 칠보, 십일월이십뉵일관녜시」 등의 패물발기, 「연모」 발기, 「녜물, 상감마마 드리오신」 등의 예물 발기를 통해 당시 궁중 복식의 전모를 짐작할 수 있다. 또 해당 가례와 관련하여 쓰인 器皿과 관련된 발기도 수록되었는데, 「상의원 동뇌연 긔명[대진], 가례도감의셔 별궁진, 가례시 보내오신 은긔 유긔, 구인 사긔, 가례시 긔명 」 등이 그것이다. 이들은 대체로 절차의 순서에 따라 衣服, 佩物, 器皿 등의 순으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이 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규장각 소장의 『憲宗妃慶嬪金氏順和宮嘉禮時節次』(奎27008)와 장서각 소장의 『졍미가례시일긔』(K2-2709)가 있다. 『헌종비경빈김씨순화궁가례시절차』는 『뎡미가례시일긔』를 저본으로 삼아 한문으로 작성된 것이다. 다시 이 한문본을 저본으로 하여 작성된 한글본이 장서각 소장의 『졍미가례시일긔』로 不分卷 6冊 72장으로 된 필사본이다.
특성 및 가치
장서각 유일본으로, 헌종과 후궁인 경빈 김씨의 가례 절차 및 그에 따른 소요 품목, 궁녀들의 역할 분담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어 19세기 궁중 풍속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이다. 각종 物目의 한글 명칭이 유려한 宮體로 수록되어 있어, 국어 어휘사 및 한글 서체 연구, 복식사, 궁중 가례의 고증 등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장서각한글자료해제』,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0.
이근용, 「『뎡미가례시일긔』에 대하여」, 『장서각소장 한글필사자료 연구』, 태학사, 2007.
이욱, 「조선 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 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장서각』제19집,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8.
황문환·안승준, 「『뎡미가례시일긔(丁未嘉禮時日記)』의 書誌的 考察」, 『장서각』제19집,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8.
황문환 외,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10.

집필자

박부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