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의화군가례등록(義和君嘉禮謄錄)

자료명 의화군가례등록(義和君嘉禮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義和君嘉禮謄錄 , 의화군가례등록(義和君嘉禮謄錄) 저자(이칭) 禮曹(朝鮮) 編 , 예조 , 예조(조선) 편(禮曹(朝鮮)編)
청구기호 K2-2705 MF번호 MF35-1893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3(고종 30년)
· 청구기호 K2-2705
· 마이크로필름 MF35-189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0.9 X 22.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3년(고종 30) 10월에 거행된 義和君 의 혼례 의식 전 과정을 등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義和君吉禮謄錄’이며, 권수제는 ‘義和君嘉禮謄錄’이다. 線裝本으로 표지는 재장한 것으로 보이는데 황색이며, 연필로 쓴 ‘1963. 8. 12.’라는 숫자가 있다. 표지의 좌측에 표지 서명이, 우측 상단에는 ‘癸巳年 /冠禮附’가, 우측 하단에는 ‘禮曹上’이란 글이 기재되어 있다. 앞뒤 모두 공격지가 있으며, 앞 공격지에는 표지와 동일한 형식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단, 서명을 ‘義和君嘉禮謄錄’로 썼다. 본문의 필사에는 無郭, 無絲欄, 無版心의 楮紙를 사용하였다. 잘못 기재한 글자에 ‘□’ 표시를 하고 수정할 글자를 우측에 기재하였으며, 첨지를 사용하여 기록을 첨가한 부분도 있다. 간혹 蟲蝕으로 인해 글자를 확인할 수 없는 부분도 존재한다. 儀註 1면의 우측 상단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책의 서두에 王子冠禮儀, 會賓客儀 등 2종의 관례 의주가 수록되었다. 의주의 말미에 이 의주에 준하여 해당 관사에서 해야 할 일들을 헤아려 거행하도록 한 문서가 등록되어 있다. 이 의주는 어람건과 예람건을 들이고 아울러 종친부에도 등사하여 보냈다. 관례 의주에 이어 의화군 가례등록이 이어진다. 목차가 나오는데, 揀擇, 擇日, 事目(物目附), 座目, 啓辭, 納采, 納幣, 命衣內出, 親迎, 同牢宴, 朝見禮(王子君見夫人之父母儀附), 賞典, 移文, 來關, 甘結, 各司所掌物目, 別工作 등의 순이다. 揀擇에는 왕자의 혼례 상대로 金思濬의 딸이 결정되는 과정을 수록하였는데, 1893년 8월 17일 揀擇 吉日 擇定, 9월 20일 초간택, 9월 26일 재간택, 10월 20일 삼간택의 과정을 거쳤다. 擇日에는 揀擇·納采·納幣·命衣內出·親迎의 날짜를 결정한 기록, 事目에는 1707년(숙종 33) 延齡君 가례의 전례를 따라 제반 의식 절차를 마련하도록 하고 이에 준하여 올린 예조의 단자, 嘉禮廳이 관장한 納采, 納幣, 奠雁, 同牢, 朝見禮, 聘財, 王子衣服, 夫人衣服 등의 세 부품목이 실려 있다. 座目에는 가례의 설행을 담당한 관원들의 명단이 수록되었으며, 啓辭에는 嘉禮廳 單子 중 추가 논의가 필요한 사항과 관련하여 올린 啓辭가 수록되었다. 納采, 納幣, 命衣內出, 親迎, 同牢宴, 朝見禮 등에는 각각 物目·儀·笏記로 나누어 관계 사항을 기록하고 있다. 동뢰연에서 조현례까지 책의 일부분이 손상되어 결락된 내용이 많다. 賞典에는 嘉禮時 主婚使者 및 嘉禮廳堂上, 嘉禮廳員役·工匠·分差計士·待令捕校의 명단과 시상 내역을 수록하였다. 移文, 來關 및 甘結에 각종 물품 마련, 물자 조달, 인력 운용, 의식 진행 문제 등에 관한 공문을 분류하여 수록하였다. 儀軌에는 禮曹正郞 金永濟를 책임자로 한 嘉禮時 儀註節目及應行諸事의 成籍者 명단이 실려 있다. 各司所掌物目에는 戶曹·工曹·尙衣院을 비롯한 23개 부서에 할당된 물목을 기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고종 대 왕자의 관례 및 결혼식의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세자 및 세손의 가례와 달리 의궤를 제작하지 않았지만 왕실의 격식을 갖추어 결혼식을 거행하였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왕실 생활사, 문화사, 사회경제사 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국조오례의
권오영, 「조선 왕실 冠禮의 역사적 추이와 그 의미」, 『조선 왕실의 가례』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신병주 외,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집필자

김지영·규장각한국학연구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