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영친왕관례시기구발기(英親王冠禮時器具拔記)

자료명 영친왕관례시기구발기(英親王冠禮時器具拔記)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英親王冠禮時器具拔記 , 영친왕관례시기구발기(英親王冠禮時器具拔記) 저자(이칭) 미상(編者未詳) , [編者未詳]
청구기호 K2-2664 MF번호 MF35-42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嘉·賀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7(융희 1년)
· 청구기호 K2-2664
· 마이크로필름 MF35-42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6.2 X 23.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5×16.5㎝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7년(융희 1) 1월 27일에 행해진 영친왕의 관례를 축하하는 잔치에 들어간 음식상의 내역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英親王冠禮時器具拔記’이다. 표지는 재장한 옅은 황색의 線裝本인데, 뒤표지 이면에 ‘西紀一九七一年七月 /藏書閣再裝’이란 기록이 있다. 앞뒤 모두 공격지가 있는데, 앞 공격지에도 표지 서명이 동일하게 적혀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雙邊 10행, 上下向黑魚尾로 된 인찰공책지가 사용되었다. 본문 1면 우측 상단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이 자료의 끝에는 1971년 7월에 장서각에서 再裝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체제 및 내용
이 자료는 영친왕의 관례 때 들어간 음식상의 내역을 정리한 발기이다. 영친왕은 이름이 이다.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귀비 엄씨이다. 1900년(광무 4) 8월에 영왕, 1907년(융희 1)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영친왕의 관례는 삼간택의 날짜가 정해진 이후인 1907년 2월 15일에 관례의 길일을 같은 달 20일 이후 그믐 전으로 택해 들이라는 명에 따라 점을 쳐서 음력 정월 27일로 정했다. 양력으로 3월 11일인데, 간택 직전에 행해진 이 행사는 중화전에서 거행되었다. 賓은 표훈원총재 閔泳徽, 贊은 중추원찬金晩秀였다. 이때 지어 준 字는 光天이다.
이 자료가 1907년 정월 27일부터 시작되고 있는데, 바로 영친왕의 관례일이다. 이날 관례가 끝나고 나서, 고종은 공로자들에게 시상하고 신하들로부터 賀表를 받았다. 그러고 나서 회례를 거행했을 것인데, 이 자료는 이때 들어간 음식상의 내역이다.
제일 앞에는 御床看品床과 御床을 비롯한 각 상의 종류와 명성황후의 혼전인 景孝殿, 순명황후의 혼전인 懿孝殿의 別茶禮에 들어간 상수를 밝혔다. 그다음에는 각 음식상의 찬품을 열거하였는데, 어상 42기의 찬품과 床花를 비롯하여 어상 32기의 찬품과 상화, 各宮床 29기의 찬품과 상화, 간품상·내빈상·대신기당상 17기의 찬품과 상화, 告祀床·頒賜床 15기의 찬품과 상화 등이다. 각 상의 높이도 기록되어 있다. 상화는 상에 놓이는 꽃을 말한다.
그다음에는 참석자의 명단이 수록되었다. 영돈녕부터 경무청경무사까지 성명은 생략하고 직함과 인원수만을 기록하였다. 이어서 음식을 돌린 각 기관 등 대상자와 床·盤只의 종류, 수량 및 糆盒 여부 등을 기록하였다. 內人부터 시작해서 교태전 東山直伊까지 궁궐 내의 모든 기관과 인원에게 제공된 것으로 보인다. 끝에는 이렇게 들어간 음식상의 총수를 밝혀 놓았다. 곧 17器床 129상, 15기상 600상, 大兼床 14상, 겸상 7상, 大隅板只 44좌, 중우판지 9좌, 大錚盤只 16좌, 중쟁반지 24좌, 倭盤只 269좌 등이다.

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