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명온공주가례등록(明溫公主嘉禮謄錄)

자료명 명온공주가례등록(明溫公主嘉禮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明溫公主嘉禮謄錄 , 명온공주가례등록(明溫公主嘉禮謄錄) 저자(이칭) 예조 , [禮曹(朝鮮) 編]
청구기호 K2-2641 MF번호 MF35-611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政書類/典禮/嘉·賀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23(순조 23년)
· 청구기호 K2-2641
· 마이크로필름 MF35-61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3.5 X 29.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3.5~34.5×23.5㎝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23년(순조 23) 7월에 치러진 명온공주와 부마 東寧尉 金賢根의 가례 절차를 기록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明溫公主嘉禮謄錄 乾’, 권수제와 서근제는 ‘明溫公主嘉禮謄錄’이다. 표지는 재장한 것으로 보이는데, 황색 표지의 線裝本이다. 표지 서명은 붓으로 썼으며 筆寫本이다. 표지의 總冊數表示에는 ‘共二’란 글이 기재되어 있다. 앞뒤 표지에 공격지가 있으며, 앞표지 뒤 공격지의 우측 하단에는 ‘明溫公主嘉禮謄錄 一’이란 글이 기재된 띠지가 있고, 공격지 사이에도 권수제나 서근제와 동일한 기록의 띠지가 끼워져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에 12행을 그린 공책지가 사용되었다. 내용의 필체로 볼 때 2인 이상이 작성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필사 시기는 본문의 내용이 계미년에 있었던 행사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1823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의 冊次와 총 책수 표시를 통해 2책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장서각에는 이 책과 동일한 서명의 책이 2部(K2-2640, K2-2642) 더 소장되어 있다. 그 가운데 K2-2642의 표지 책차는 ‘明溫公主嘉禮謄錄 坤’으로 기재되어 있어 이 책과 한 질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K2-2640과 K2-2642를 작성한 후 내용을 수정하고 합하여, 이 책을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체제 및 내용
명온공주순조순원왕후의 첫째 딸로, 1810년(순조 10)에 태어났다. 14세에 동갑인 동녕위 김현근과 가례를 치뤘다. 작성한 내용에 부분적으로 교정 표시가 되어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간택, 택일, 사목, 좌목, 전교, 계사, 부마관례의, 납채, 납폐, 명복내출, 친영, 公主詣駙馬房儀, 동뢰연, 상전, 이문, 내관, 감결, 각사소장물목, 별공작이다. 목차에는 없지만, 책의 말미에 출합에 관한 간단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납채, 납폐, 명복내출, 친영의 경우, 각각 일시, 물목, 의주, 홀기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친영의 경우, 부마가 공주궁에 나아갈 때의 반차와 공주가 부마방에 나아갈 때의 반차를 적었다. 동뢰연의 경우, 동뢰연배설도가 그려져 있다. 목차에는 없지만, 각사소장물목질 앞에 의궤 항목이 들어 있다. 별공작질에는 새로 만든 물품들을 만드는 데 소용되는 재료들, 실입질과 용환질, 용후환하질, 공장질도 보인다.
5월 22일 초간택, 5월 27일 재간택, 6월 2일 삼간택을 행하였고, 세 번에 걸친 간택은 모두 희정당에서 행하였다. 부마 후보자의 연령은 12~15세로 정하여 간택단자를 들이도록 하였다. 각 도에서 간택단자를 시기별로 제출하는 과정과 간택 대상자를 선별하는 과정이 상세하다. 6월 2일 택일, 사목, 물목이 모두 마련되면서 본격적인 가례 준비에 들어갔다. 가례청예조에 설청하였으며, 6월 6일 회동에서 가례청 좌목이 확정되었다. 가례물목의 경우, 납채, 납폐, 전안, 동뢰, 현구고래, 빙재에 필요한 물품들을 먼저 적고, 공주와 의빈, 유모, 보모, 기비, 보비, 징씨, 견마부, 皂隸 등 가례 참여자들의 복식을 그다음에 적고, 마지막에 기혈을 따로 기록하였다. 6월 3일 순조는 전안처소는 領敦寧本房으로, 동뢰처소는 공주궁에 마련하도록 전교하였다.
출합의 경우, 1824년(순조 24) 8월 23일 순조의 전교로 숙선옹주의 예를 따라 준비하도록 하였다. 원래 출합일은 전교를 내린 다음 날인 8월 24일로 정하였으나, 8월 24일 순조의 전교로 날짜를 바꾸어 실제는 9월 6일에 출합하였다. 출합에 관한 내용이 다소 소략하다. 이는 순조의 전교로 1823년 가례 당시 친영 전에 10여 종을 제외하고 이미 출합에 필요한 기혈과 물목들을 미리 진배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출합 당시에는 메밀가루, 밀가루, 꿀, 참기름, 조기, 대구 등 10여 종만 추가로 준비하였다.
특성 및 가치
가례청에서 왕자녀의 가례등록을 작성할 때 K2-2640와 같은 형태의 초고본 단계에서 시작하여, K2-2641 교정본 단계를 거쳐 K2-2642 정서본 형태로 완성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이 본은 교정본으로, 대체로 전체 내용 가운데 ‘가례택일’과 ‘가례청’ 부분에 ‘가례’를 빼도록 교정하였으며, 납채의 경우 납채 일자를 빠뜨렸는데, 다시 기입하여 넣도록 교정을 하였다. 교정 표시 부분을 수정한 정서본이 K2-2642이다.

참고문헌

김문식, 「1823년 명온공주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56, 2011.
장서각소장등록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집필자

김지영·한국학중앙연구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