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자료명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저자 가례도감(嘉禮都監) 찬(撰)
자료명(이칭)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n1-2책) , 嘉禮都監儀軌 저자(이칭) , 가례도감(嘉禮都監 編) , 嘉禮都監(朝鮮) 編
청구기호 K2-2599 MF번호 MF35-504~50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嘉·賀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국가문화재
· 작성시기 1866(고종 3년)
· 청구기호 K2-2599
· 마이크로필름 MF35-504~50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가례도감(嘉禮都監)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44.5 X 31.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31.9×26.6㎝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66년(고종 3)嘉禮都監에서 高宗明成王后 閔氏의 嘉禮 행사를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嘉禮都監儀軌’이다. 표지의 우측에는 ‘同治五年丙寅三月日’이라 기록되어 있다. 서근제는 ‘嘉禮都監儀軌’이다. 뒤표지 이면에는 ‘大正八年一月日改修’라 기재되어 있다. 표지에는 ‘貴中圖書’라는 인장이 날인되어 있으며, 본문의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 우측 하단에는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이라는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본문은 12행의 흑색 인찰 공책지에 필사로 기재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본문 첫 장에 ‘嘉禮都監儀軌目錄’ 다음 座目·日記·傳敎(奏啓別單 附)·移文·來關·禮關·甘結·財用·賞典·儀軌·一房(附儀註所 尙衣院 司饔院 內資寺)二房·三房(附工曹)·別工作·修理所가 적혀 있고, 내용은 ‘嘉禮都監儀軌上 同治五年丙寅(1866)三月日都廳儀軌’ 다음 「좌목」으로 시작된다. 「좌목」에는 都提調 영의정 趙斗淳提調東寧尉 金賢根·南寧尉 尹宜善·興寅君 李最應·永平君 李昱 등과 같이 종친이 참여한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일기」에는 날짜별 행사 절차와 그 실행 내용이 쌍행의 주석으로 이전의 어느 가례의궤보다 소상히 정리되어 있는데, 1866년 2월 25일 午時에 初揀擇, 3월 6일 손시에 三揀擇(주석에 따르면, 도제조 이하가 黑團領 차림으로 궐문이 열리기를 기다렸다가 궐내로 들어가 제반사를 검침함), 9일 辰時에 納采(주석에 따르면, 正·副使 및 도제조 이하 각 差備官이 朝服 차림으로 殿庭에서 禮를 행함. 궐문 밖으로 나와 정·부사는 公服으로 갈아입고, 도제조 이하 각 차비관은 黑團領으로 갈아입고서 妃를 모시고 나아감. 本家의 主人과 儐者 또한 公服 차림으로 예를 행함.)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 가운데 3월 15일의 “諺書儀註 7건을 別宮에 써서 들였다.”는 내용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의궤사목」에서는 “의궤 7건 가운데 奎章閣에 1건, 나머지는 禮曹·議政府·鼎足山城·五臺山·太白山·赤裳山城 등처에 나누어 둔다.”라고 하였다. 본서의 제1책 「일방의궤」 중간에 왕과 왕비가 함께 궁궐로 돌아오는 82면의 彩色 班次圖가 실려 있는데, 왕의 輦 뒤쪽에 ‘大院位轎子’, 왕비의 연 뒤쪽에 ‘府大夫人德應’이 기록되어 있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왕실 혼례에 들어간 물자와 진행 절차 등이 소상히 기록되어 당시 국가의 재정 상황 및 行禮 과정의 연구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채색화로 된 반차도는 당시의 복식과 儀仗 수준을 알려 주는 자료가 된다.

집필자

백영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