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자료명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저자 가례도감(嘉禮都監) 찬(撰)
자료명(이칭) 가례도감도청의궤: 숙종7년 신유(1681) 5월 일(嘉禮都監都廳儀軌: 肅宗7年 辛酉(1681) 5月 日) , 嘉禮都監都廳儀軌: 저자(이칭) , 가례도감(嘉禮都監 編) , 嘉禮都監(朝鮮) 編
청구기호 K2-2590 MF번호 MF35-50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嘉·賀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국가문화재
· 작성시기 1681(숙종 7년)
· 청구기호 K2-2590
· 마이크로필름 MF35-50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가례도감(嘉禮都監)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44.5 X 34.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4.8×27.5㎝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81년(숙종 7)嘉禮都監에서 肅宗과 繼妃 仁顯王后 閔氏의 嘉禮 행사를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嘉禮都監儀軌’이다. 표지의 우측 상단에는 ‘康熙二十四年辛酉五月日 肅宗七年’이라 기재되어 있다. 제1면에는 ‘李王家圖書之章’과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본문은 12행의 흑색 목판 인찰 공책지에 내용을 필사하여 기록하였다. 뒤표지 이면에는 ‘大正八年一月日改修’라 기재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본문 첫 장에 ‘康煕二十年辛酉(1681)五月日 嘉禮都監都廳儀軌’라 적혀 있고, 내용은 “辛酉正月初三日 賓廳啓曰”로 시작된다. 전체 체제는 都廳儀軌, 一·二·三房儀軌, 別工作儀軌, 別宮修理所儀軌, 班次圖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별로 살펴보자면, ‘도청의궤’는 「啓辭秩」(1681년 5월 3일에 慈殿이 嘉禮를 미리 의논하기 위해 賓廳에 소집을 명하였으나 領議政 金壽恒 등이 참석하지 않아 牌招하기를 청하는 일 등), 「移闕秩」(1681년 3월 11일에 錄事 등에게 지급할 料布를 호조병조에 요청하는 일 등), 「牒呈秩」, 「稟目秩」, 「甘結秩」, 「儀軌事目」, 「論賞」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이·삼방의궤’와 ‘별공작’도 다른 가례도감의궤와 구성 및 내용에서 크게 차이가 없다. 다만 본 의궤에는 별공작 외에 ‘別宮修理所’ 항목이 별도로 기록되어 있는데, 監役官으로는 당시 繕工監 監役李浣이 담당하였다. 작업 내역을 기록한 造作秩에는 ‘假家 85間, 庫間 14칸, 土宇 5칸’으로 상세히 적고 있는데, ‘隅板 50部’ 아래에는 ‘漢城府 次知’라고 작은 글자로 그 출처까지 밝히고 있다.
본문 뒤에 班次圖가 채색되어 있는데, 같은 행사를 기록한 太白山 보관본(奎13084)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본래 赤裳山 보관본이었던 본 장서각본은 19면인데 비해, 태백산본은 한 면당 행렬의 간격을 좁혀 같은 내용을 18면에 담았다. 열 번째 장면 가운데 支擧의 모습이 적상산본은 발 아래까지 덮은 긴 치마에 손을 아래로 내리고 있고, 태백산본은 무릎까지 내려오는 웃옷에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리고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왕실 혼례에 들어간 물자와 진행 절차 등이 소상히 기록되어 재정 상황 및 行禮 과정의 연구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채색화로 된 반차도는 복식과 儀仗 수준을 알려 주는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李成美 등, 『藏書閣所藏 嘉禮都監儀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집필자

백영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