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사전별의궤(祀典別儀軌)

자료명 사전별의궤(祀典別儀軌)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祀典別儀軌 , 사전별의궤(祀典別儀軌n1-2책) , [1643]사전별의궤(祀典別儀軌) 저자(이칭) 장례원 , 禮曹(朝鮮)編 , 예조(禮曹編)
청구기호 K2-2537 MF번호 MF35-546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51(효종 2년)
· 청구기호 K2-2537
· 마이크로필름 MF35-54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4.5 X 37.9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8×33.4㎝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仁祖 대 축문의 定式과 실제로 사용했던 축문을 모아 엮은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祀典別儀軌’이며, 서근제 역시 ‘祀典別儀軌’이다. 서명은 제첨 위에 기록되어 있다. 장정은 5침안의 선장 형식이며, 표지는 황색 만자문의 壯紙를 사용하였다. 서명 아래에 책차가 ‘乾, 坤’의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문은 16행의 오사란 위에 필사하여 기재하였다. 본문 가운데는 소자쌍행으로 내용을 부기하고 있다. 본문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고, 우측 하단에는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체제는 크게 「祀典別儀軌頭辭結語總目」과 「祀典別儀軌」로 구성되어 있다.
「사전별의궤두사결어총목」은 2책 중 앞 책의 14쪽 분량으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는 않다. 수록 내용으로는 社稷告祭文, 永寧殿告祭文, 宗廟告祭文, 各陵殿, 興慶園先告祭文, 私廟祭文, 毓慶園祭文, 魂宮祭文, 啓運宮虞祭, 仁穆王后虞祭, 仁烈王后虞祭 등이 있다. 총목의 말미에는 “廟·社·陵·殿과 遷陵, 國恤 등에서의 축문 頭辭와 結語는 이것으로 定式을 삼는다. 그러므로 하나의 예만 거론하고 나머지는 모두 생략한다.”라고 적고 있어 정리의 목적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崇禎十六年癸未六月日 奉敎書”라고 하여, 이 내용들이 1643년에 정리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祀典別儀軌」에서는 실제에서 사용된 제문들을 모아 정리하고 있다. 啓運宮喪-天啓六年丙寅(1626), 興慶園遷葬-天啓七年丁卯(1627), 崇恩殿尊號-崇禎五年(1632), 世子冊封頒勅時-崇禎七年甲戌(1634), 成宗大王世室告宗廟頒敎-崇禎皇帝登極頒詔後元年(1628), 集賢殿回祿災後(1631), 世宗大王忌辰祭祝文, 文定王后忌辰祭祝文, 穆陵遷葬-崇禎三年庚午(1630), 仁穆王后國喪-崇禎五年壬申(1632), 仁烈王后國喪(1635) 등에서 사용된 축문이 실려 있다. 계운궁상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목만 있고 축문은 빠져 있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毛氈撤去時告文, 告后土祝, 殯宮門墻破毁先告祭文, 啓殯奠祝, 祖奠祝, 殯宮門及道路橋梁祭文 등 절차에 따라 구분되는 축문을 각각 수록하고 있다.
특성 및 가치
國喪 등 하나의 큰일에 있어 절차별로 다양한 제문들이 실려 있어 당시 실제 모습을 살펴보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집필자

이정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