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국조보감(國朝寶鑑)

자료명 국조보감(國朝寶鑑) 저자 이왕직 국조보감찬집실(李王職 國朝寶鑑纂輯室) 편(編)
자료명(이칭) 國朝寶鑑(卷93 - 106) 저자(이칭) 純宗(朝鮮王, 1874-1926) 命撰
청구기호 K2-25 MF번호 MF35-4741∼474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編年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39
· 청구기호 K2-25
· 마이크로필름 MF35-4741∼474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국조보감찬집실(李王職國朝寶鑑纂輯室)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3.8 X 22.3
· 판본 석인본(石印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7권(卷) 7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1×16.4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일제강점기에 李王職 主殿課에서 기획하고 李王職 國朝寶鑑纂輯室에서 주관하여 1939년에 편찬한 고종순종의 寶鑑으로 편년체 역사서이다.
서지사항
K2-25에는 1939년본으로 2종의 석인본과 1종의 필사본이 있다. K2-25-1 A에서 W까지 23부는 모두 17권(권91~107) 7책의 석인본이다. K2-25-2는 7권(卷97~103) 3책의 낙질본으로 동일 판본이며, 도침을 많이 한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였다. K2-25-3은 필사본 1책으로 面紙와 본문 모두 두꺼운 장지를 사용하였으며, 上下向二葉魚尾의 石印印札空冊紙 네 장에 범례와 목록 등을 필사한 것으로 국내 유일본으로 추정된다. 필사 내용은 위의 책에서 보이지 않는 범례 ‘太祖正祖~不敢追改’ 1조항과 ‘高宗建元~一月二月’ 1조항인데, 위의 책에서는 ‘自建元’으로 시작되어 차이를 보이며 張次도 一이 아닌 四로 되어 있고 목록 장차 또한 十과 十一로 기재되어 있다. 제4장에는 ‘李王職長官~李恒九等撰’이 기재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1939년에 17권 7책으로 편찬된 본서는 御製 序, 凡例, 目錄, 各朝 寶鑑, 跋, 國朝寶鑑編輯委員會 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御製 序는 李王 殿下 李垠의 序로서 국조보감 편찬의 의의에 관한 내용이다. 凡例에는 본 『國朝寶鑑』 편찬의 기본 원칙이 수록되어 있다. 目錄에는 高宗 寶鑑과 純宗 寶鑑의 권수 및 책 수가 수록되어 있다. 고종순종의 寶鑑은 廟號와 諡號, 그리고 大王으로 표시된 명칭으로 시작된다. 이어서 고종순종의 諱, 字, 생년, 출생 장소, 즉위 연도, 재위 기간, 卒年, 壽命, 陵 소재지 등에 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후대 왕에게 모범이 될 만한 善政과 嘉言 등이 연대순으로 정리되어 있는데, 이는 實錄 또는 『承政院日記』 등에서 발췌되었다. 각각의 편년 기사는 맨 앞에 干支가 있고 뒤이어 기사가 수록되는데 각각의 기사는 ‘〇’ 표시로 구분되어 있다. 跋은 國朝寶鑑編輯委員會의 위원장인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 1897~1946)가 썼다.

참고문헌

일제하 高宗純宗實錄 高宗純宗國朝寶鑑의 편찬과 장서각 자료」, 신명호, 『정신문화연구』 7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URL

집필자

신명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