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전묘단축식의궤(殿廟壇祝式儀軌)

자료명 전묘단축식의궤(殿廟壇祝式儀軌) 저자 통례원(通禮院) 편(編)
자료명(이칭) 殿, 廟, 壇, 祝式儀軌 , 전,묘,단,축식의궤(殿,廟,壇,祝式儀軌) 저자(이칭) 통예원(조선) 편(通禮院(朝鮮)編) , 通禮院(朝鮮)編 , 통례원
청구기호 K2-2486 MF번호 MF35-559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7(융희 1년)
· 청구기호 K2-2486
· 마이크로필름 MF35-559
· 기록시기 1907~1910年(隆熙 1~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통례원(通禮院)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5.8 X 42.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7×28.7㎝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대한제국기 純宗皇帝 재위 연간에 慶基殿, 濬源殿, 肇慶廟, 肇慶壇, 濬慶墓, 永慶墓의 제향에 사용된 祝文式을 모은 것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殿廟壇祝式儀軌’이다. 황색 표지에 5침안의 선장 형태로 장정되어 있다. 본문은 오사란의 용지에 필사하여 기록하였다. 15행 25자의 글자 배열을 하고 있으며, 본문은 총 4면이다.
체제 및 내용
표지의 제목은 본문에 나오는 경기전, 선원전, 조경묘, 조경단, 준경묘, 영경묘 등에서 마지막 글자를 모아서 후대에 개장한 것이다. 서문, 발문, 목차가 없이 본문에 축식들이 정리되어 있다. 축식들의 정확한 명칭은 경기전축식, 선원전축식, 조경묘축식, 肇慶壇淸明祭祝式, 준경묘청명제축식, 영경묘청명제축식 등이다. 이 자료와 유사한 것은 규장각의 『肇慶壇濬慶墓永慶墓營建廳儀軌』(奎14251)이다.
경기전全州에서 태조 御眞을 보관한 곳이고, 준원전태조의 출생지이면서 어진을 모신 곳이며, 조경묘조경단은 조선왕조의 시조인 李翰의 사당과 묘소이다. 준경묘영경묘三陟에 소재한 穆祖의 부모인 陽茂李氏의 묘소이다. 조경단, 준경묘, 영경묘는 대한제국기인 1899년(광무 3)에 정비되었다. 고종이 제국을 선포함에 따라 선대 국왕들도 추숭되었는데, 태조의 경우 ‘太祖至仁啓運應天肇統廣勳永命聖文神武正義光德高皇帝’라고 하여 황제로 높여졌다. 축문의 순서를 보면 경기전준원전에는 청명과 추석, 조경묘에는 춘분과 추분, 조경단준경묘, 영경묘에는 청명절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殿廟壇에서 제사를 지내는 규정은 1907년 7월 23일에 반포된 칙령 제50호 「享祀釐正件」에 따른 것이다. 조경묘는 ‘始祖考先公’, ‘始祖妣慶州金氏’라 하였으며, 조경단은 ‘始祖考先公尊靈’이라 하였다. 그리고 준경묘영경묘는 ‘先祖考高麗將軍尊靈’, ‘先祖妣李氏尊靈’이라고 하였다.
특성 및 가치
고종1897년 대내외에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제국의 위상과 황실의 권위를 높이는 차원에서 다양한 기념비적인 국가 사업을 거행했다. 그중 조선왕조의 시조와 선대의 추숭을 위해 사당과 묘소들을 정비하였다. 따라서 이 의궤는 고종 대 대내외적인 황실 선양 사업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고종 대에 정비된 전묘단에 대한 제사를 순종 대에 어떻게 이어갔는지를 확인하게 해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신명호, 「일제하 이왕직과 이왕가 족보」, 『한국학대학원논문집』 11, 1998.
이왕무, 「이왕직의 유래와 장서각 소장 이왕직 자료의 연혁」, 『장서각』 31, 2014.
이윤상, 「일제하 ‘조선왕실’의 지위와 이왕직의 기능」, 『한국문화』 40, 2007.

집필자

이왕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