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저승전의궤(儲承殿儀軌)

자료명 저승전의궤(儲承殿儀軌) 저자 수리도감(修理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儲承殿儀軌 , [1648]저승전의궤(儲承殿儀軌) 저자(이칭) 修理都監(朝鮮)編 , 수이도감(修理都監編) , 수리도감
청구기호 K2-2485 MF번호 MF35-556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48(인조 26년)
· 청구기호 K2-2485
· 마이크로필름 MF35-55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수리도감(修理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54.8 X 37.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43.3×30.5㎝
· 인장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47년(인조 25)부터 1648년까지 昌德宮昭顯世子 처소인 儲承殿을 수리 및 정비하던 과정을 정리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儲承殿儀軌’이다. 붉은색 표지를 사용하였으며, 선장의 형태로 장정하였다. 본문의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우측 하단에는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이 각각 날인되어 있다. 본문은 오사란의 용지에 내용을 필사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12행 22자의 글자 배열을 하고 있다.
체제 및 내용
저승전의궤』는 5건이 작성되었는데, 1건은 어람용, 4건은 의정부, 춘추관, 예조, 적상산사고 등에 보관되었다. 장서각에 소장된 것은 적상산사고본으로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이왕직에 기증한 것이며, 그에 해당하는 총독부이왕직의 직인이 찍혀 있다. 목록은 座目, 前遺在秩, 新捧上, 各道求請, 都監貿易秩, 上下秩, 鐵物打造秩, 用餘雜物還下秩, 各處移送秩, 啓辭等, 左所, 右所, 外所, 爐冶所, 儀軌事目의 15개이다.
목록의 맨 앞인 좌목에는 저승전을 정비한 인물들이 나온다. 제조공조 판서 李時昉, 낭청 2인, 감조관 4인, 領役部將 12인, 算員 1인, 畵員 1인, 書寫 1인, 書吏 7명, 庫直 2인, 使令 10명 등의 이름을 열거하였다. 그리고 공사의 과정을 일자별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공사 중에 오고간 계사, 이문, 내관, 품목, 감결들이 삽입되었다. 특히 문서 중에는 저승전 공사가 仁慶宮의 전각을 해체하여 이용했음을 알려 준다. 즉, 1647년 8월 15일에 인경궁의 자재를 사용하였다고 기록했다. 또한 9월 15일에 立柱 및 上樑하였으며, 1648년 윤3월에 완공한 뒤 세자인 소현이 거처로 삼았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저승전 공사와 동시에 창덕궁仁政殿宣政殿의 어탑 설치, 인정전 전후 계단의 개축 등이 진행되었다. 또한 저승전 수리에 남은 물력은 창경궁 文政殿의 수리에 이송한다고 하였다.
특성 및 가치
저승전1764년(영조 40) 12월 18일의 화재로 소실된 후 중건되지 않았다. 1820년 대에 제작된 동궐도에도 표현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의궤는 동궁 건설과 관련된 유일한 의궤이면서 저승전의 전모를 밝혀 주는 유일한 자료이다. 또한 궁궐 내 건축 과정과 인원 및 물자의 이용 과정을 보여주는 의궤로서 가치가 있다. 특히 소현세자가 죽은 1645년 이후 동궁의 관리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정길수 외, 『(역주) 소현동궁일기 1~6』, 민속원, 2008.
한영우, 『동궐도』, 효형, 2007.

집필자

이왕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