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문묘의궤(文廟儀軌)

자료명 문묘의궤(文廟儀軌) 저자 이왕직(李王職) 편(編)
자료명(이칭) 文廟儀軌 , 문묘의궤(文廟儀軌)(1) 저자(이칭) 장례원 , 장예원(조선) 편(掌禮院(朝鮮)編) , [掌禮院(朝鮮) 編]
청구기호 K2-2448 MF번호 MF35-559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殿·宮·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0
· 청구기호 K2-2448
· 마이크로필름 MF35-559
· 기록시기 1910年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李王職)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5.4 X 32.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6×28.5㎝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일제강점기 이후 李王室에서 행하였던 文廟釋奠祭, 啓聖祠, 寧月配食壇, 各陵의 祭享 시에 사용하기 위해 작성된 祝式들을 모은 儀軌이다.
서지사항
황색 비단에 장정되어 있고, 표지 제첨에 서명이 필사되어 있다. 어미가 없는 오사란에 반엽 15행 23자로 정서되어 있다. 四周單邊의 판식을 사용하여 찍은 뒤에 그 위에 본문을 기재한 것인데, 마지막 장만은 사주쌍변이고 글자체도 달라서 추록한 것으로 보인다. 대두법과 격자법 등 매우 엄격하게 격식을 지키고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서문 등이 없어 책의 작성 의도를 알기 어렵다. 구성을 살펴보면 「文廟釋奠祝式」, 「啓聖祠」, 「寧月配食壇致祭」, 「各陵 淸明」의 순서로 적혀 있다. 각 능의 淸明條에는 德陵·安陵(穆祖·孝恭王后), 智陵(翼祖), 淑陵(貞淑王后), 義陵(度祖)의 축식이 있다.
「문묘석전축식」은 孔子, 顔子, 子思, 曾子, 孟子 등 다섯 성인들에 대한 것으로, 각각 先聖大成至聖文宣王, 先師袞國復聖公, 先師郕國宗聖公, 先師沂國述聖公, 先師鄒國亞聖公 등으로 호칭하고 있다. 「계성사」는 이 다섯 분의 生父를 모신 사당이며, 齊國公孔氏, 曲阜侯顔氏 등으로 호칭하고 있다. 영월배식단은 강원도 영월莊陵에 있는 두 개의 단으로, 1791년(정조 15)端宗을 위해 절의를 지킨 사람들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사적이 뚜렷한 사람은 正壇에 모셨으며, 사적이 뚜렷하지 않거나 연좌되어 죽은 사람 236명은 별단에 모셨다.
특성 및 가치
장서각 소장 문묘 의궤 중 하나로, 일제강점기 이왕실의 제례 의식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이왕직 하의 왕실 의례가 대한제국기의 의례를 큰 변화 없이 이어 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집필자

김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