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남전속지(南殿續志)

자료명 남전속지(南殿續志) 저자 김계진(金啓鎭)
자료명(이칭) 南殿續志 저자(이칭) 김계진(조선) 찬(金啓鎭(朝鮮)撰) , 金啓鎭(朝鮮) 撰
청구기호 K2-2436 MF번호 MF35-23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殿·宮·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59(철종 10년)
· 청구기호 K2-2436
· 마이크로필름 MF35-23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 유일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김계진(金啓鎭)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4.8 X 22.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4×16.1㎝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59년(철종 10)金啓鎭태조 등의 御眞을 보관하고 있는 永禧殿과 관련된 각종 사항을 정리한 자료이다.
서지사항
황색 종이 표지로 개장되었으나 개장된 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 목판 인찰 공책지에 필사되어 있는데, 상하향2엽화문어미가 있으며, 10행 20자로 작성되어 있다. 종이를 割去한 후 補寫한 흔적이 곳곳에 나타난다. 권말의 識에는 ‘歲己未’의 서미 부분에 첨지를 붙여 ‘哲宗己未’를 補寫하였다.
체제 및 내용
南殿은 御眞을 봉안하던 眞殿의 하나로, 南別殿이라고도 불리던 영희전의 다른 이름이다. 임진왜란 이전 진전은 태조 어진을 보관하던 전주慶基殿을 비롯해 각처의 진전과 선대 국왕과 왕비의 어진을 봉안한 서울璿源殿으로 나누어 운영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과정에서 어진이 소실된 뒤 1619년(광해군 11) 개성수원에서 보관하고 있던 태조 어진과 奉先殿에 봉안된 세조 어진을 광해군의 생모 恭嬪 金氏의 신위가 모셔져 있던 서울奉慈殿으로 옮기고, 이름을 남별전으로 고쳤다. 남별전은 이후 1690년(숙종 16) 永禧殿으로 개칭되었다. 영희전에는 태조세조 이외에 元宗을 비롯해 숙종영조 등의 어진을 보관하였으며, 순조 사후에는 순조의 어진도 봉안하였다. 본서는 중건이 완료된 후 이곳의 참봉이던 金啓鎭이 관련된 내용을 모아 정리해서 편찬한 것으로, 서명을 ‘續志’라 한 것은 범례 부분에서 밝히고 있듯이 ‘前誌’가 있었기 때문이다. 김계진이 언급한 ‘전지’가 장서각에 소장된 것으로 1751년(영조 27)에 편찬된 『永禧殿志』(K2-2471)가 아닐까 추정된다.
본서는 목록을 먼저 수록한 뒤에 이어 범례에 해당되는 내용 10개 조목을 기술하였으며, 영희전의 공간 배치에 대한 도설인 「殿宇間架圖」와 「饌品陳設圖」를 수록하였다. 범례 격인 10개 조항에는 ‘전지’를 준수해 목차를 정하였다는 점 등을 밝히고 있다.
이어지는 본문의 ‘躋享’ 조에는 1776년(정조 즉위년) 4월 12일 영조의 어진을 봉안하는 문제와 1748년(영조 24) 숙종의 어진을 봉안하며 2칸을 添建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이어 ‘增建’ 조에는 1858년 6월 25일 순조의 어진 봉안에 대한 尹定鉉(1793~1874)의 상소를 비롯해 중건을 위한 都監의 설치 사실과 이후 중건 과정에서 작성된 상량문을 기록하였다. ‘影幀位次’ 조에는 제1실 태조부터 제6실 순조까지 봉안한 사실을 기록하였고, ‘重修’ 조에는 중수 과정과 참여 인원의 노고에 대해 賞典을 시행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各樣修補’ 조에는 簾帳舖陳, 樑上塗灰, 改瓦, 墻堦, 下馬碑 등 개보수한 사항을 시간 순서에 따라 기록하였고, ‘親享’ 조에는 1765년(영조 41) 1월과 1781년(정조 5) 11월 등의 친향 일시를 기록하였으며, ‘酌獻禮’ 조에는 1812년(순조 12) 8월 이후 영조정조, 순조, 철종 대의 작헌례 시행 과정을 기록하였다. ‘祭享饌品’ 조와 ‘祭享進排’ 조에는 찬품이나 진배 물품 등의 논의 사항을 수록하였다. ‘祝文’ 조에는 제5실의 영조와 제6실의 순조에 대한 축문을 기록하였고, ‘祭享儀註’ 조와 ‘祭享雜儀’ 조에는 제향과 의주나 準祝, 望瘞, 進上 등에 대한 논의 사항을 기록하였으며, ‘雜儀’ 조에는 移還安이나 春秋奉審, 受香 등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하였다. ‘儀物祭器’ 조에는 제5실과 제6실의 의물이나 제기의 목록을 기록하였고, ‘移安時所用櫃袱秩’조에서는 전내에 보관된 물품 목록과 수량을 기록하였는데, 특히 6실은 별도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御製’ 조와 ‘御諭’ 조에는 영조정조가 내린 어제와 諭書를 기록하였고, ‘變通’ 조와 ‘盜變’조에는 그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하였다. 마지막에는 김계진의 識를 수록하였는데, 본서의 간행 배경 등을 기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영조 대 후반 이후 영희전의 운영 및 관리 실태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이다. 장서각에는 남별전(영희전)과 관련해서 본서 이외에도 『永禧殿別謄錄』(K2-2467), 『永禧殿營建都監儀軌』(K2-3575, 3576), 『永禧殿儀軌』(K2-2468), 『永禧殿第二室影幀移奉光明殿模寫時儀註』(K2-2470), 『永禧殿志』(K2-2471), 『永禧殿儀仗祭器等物謄錄』(K2-2469) 등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규장각에는 1677년(숙종 3)의 중건 사실을 기록한 의궤인 『南別殿重建廳儀軌』(奎14353)가 소장되어 있어, 진전 관리 실태를 살피는 데 참고가 된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