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관왕묘의궤(關王廟儀軌)

자료명 관왕묘의궤(關王廟儀軌)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關王廟儀軌 저자(이칭) 禮曹(朝鮮) 編 , 예조 , 예조(禮曹)
청구기호 K2-2422 MF번호 MF35-555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殿·宮·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7(광무 1년)
· 청구기호 K2-2422
· 마이크로필름 MF35-555
· 기록시기 1897年(光武 1) 以前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 유일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53.9 X 38.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45.0×33.5㎝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고종 후기에 關王廟를 비롯해 崇義殿 등의 사당과 嶽海瀆과 名山大川 등의 제사에 사용되는 祝文式을 모은 자료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제첨에 ‘關王廟儀軌’로 필사되어 있으며, 제첨 아래에는 ‘第一号’라는 첨지가 있다. 표지는 녹색 비단으로 장황되어 있다. 권수제는 ‘關王廟’이다. 어미가 없는 오사란에 반엽 18행으로 정서되어 있다. 서미에는 색인어가 필사되어 있다. 본문에는 종이를 割去한 후에 ‘光緖’를 補寫한 경우, ‘敢昭告于’ 위에 첨지를 붙여 ‘致祭于’라고 필사하여 수정한 경우 등을 볼 수 있다. 첨지 중에는 ‘皇帝’라고 수정된 것도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제사의 주체와 표기된 연호가 ‘皇帝’ 및 ‘光緖’로 표현되거나 ‘朝鮮國王’ 및 ‘光緖’ 혹은 ‘國王’ 및 ‘同治’ 등이 혼용되어 기록된 것으로 보아 동치연간(1862~1874) 이후부터 ‘光武’ 연호가 사용되기 시작한 1897년 8월 14일(양력) 이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명이 『관왕묘의궤』여서 관왕묘 관련 자료만이 수록된 것으로 오해될 수 있으나, 본서에는 관왕묘 이외에도 다수의 국가 제사 대상지가 수록되어 있다. 서울전라도 古今島, 전라도 南原에 소재한 관왕묘를 비롯해 纛神, 경기에 위치한 고려 태조 사당인 崇義殿, 평안도 평양에 위치한 箕子崇仁殿檀君東明王崇靈殿, 황해도에 위치한 단군桓因·桓雄三聖祠, 경상도 경주에 위치한 朴赫居世崇德殿, 경기 廣州에 위치한 온조崇烈殿, 경상도 김해에 위치한 가야국 시조 김수로왕崇善殿, 고려 태조와 비인 신혜왕후 유씨顯陵 등과 嶽海瀆, 名山大川으로 松嶽山神, 白頭山神, 東海神, 熊津之神, 雉嶽山神, 楊津溟所之神, 風雨雷雨神, 華城城神 등의 축문이 수록되었다. 竹嶺山, 亏弗山, 主屹山, 紺嶽山, 義館嶺, 鷄龍山, 錦城山, 五冠山, 牛耳山, 漢拏山의 경우 치악산신의 축문과 동일하며, 長山串, 阿斯津松串, 淸川江, 沸流水, 九津弱水, 德津溟所 등은 양진명소지신의 축문과 동일하다. 이 밖에도 송악산신, 寧越 莊陵의 配食壇, 臨漳書院, 공주나 옹주, 箕子陵이나 東明王陵 등의 제사 때 사용하는 축문도 수록되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고종 후기에 국가 제사 가운데 中祀와 小祀에 해당되는 제사에 사용되는 축문식을 모은 자료이다. 이를 통해 이 시기 국가 제사 운영 모습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다. 본서와 관련되어 장서각에는 융희 연간에 작성된 『關王廟祝式』(K2-2424)이 소장되어 있어 참고가 된다.

참고문헌

大韓禮典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