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홍릉제기연한책(弘陵祭器年限冊)

자료명 홍릉제기연한책(弘陵祭器年限冊)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弘陵祭器年限冊 , 홍릉제기년한책(弘陵祭器年限冊) 저자(이칭) [撰者未詳] , 미상(撰者未詳)
청구기호 K2-2386 MF번호 MF16-29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陵·園·墓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92(정조 16년)
· 청구기호 K2-2386
· 마이크로필름 MF16-292
· 기록시기 1792年(正祖 16)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4.9 X 23.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9×18.8㎝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英祖의 비 貞聖王后 徐氏를 모신 弘陵에 보관된 祭器 등의 세목과 그 비치 상태 등을 기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祭器年限冊’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 ‘全’으로 표기되어 있다. 앞표지 우측 상단에는 ‘弘陵’이, 우측 하단에는 ‘壬子六月’이 표기되어 있다. 표지를 개장한 것으로 보이나 개장 기록은 없다. 앞표지와 본문 사이의 隔紙에도 앞표지와 동일한 기록이 있다. 본문은 어미가 없는 사주쌍변 오사란에 10행 22자로 필사되어 있다. 본문에 印文이 흐릿한 ‘⊙⊙⊙⊙⊙⊙’ 8顆가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표지 서명은 ‘제기연한책’이나 실제로 제기의 연한에 대한 기록은 없고, 홍릉이 보유하여야 할 제기의 종류와 수량 및 실제 보유한 제기의 상황 등을 기록하고 있다. 본서의 앞부분에는 1791년(정조 15) 8월 16일에 정조가 내린 전교와 1792년 3월에 호조가 계문한 능·원·묘의 제기 연한과 관련된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이 두 기사가 정조 때의 것임은 호조가 계문한 내용이 『正祖實錄정조 16년(1792) 3월 1일 기사 가운데 “각 처의 陵과 園, 墓의 祭器에 陵號 한 자씩과 제작한 연도를 새겨 넣어 표시하고, 또 사용하는 연한을 정하되 木器는 3년, 鍮器는 10년, 鐵器는 5년으로 하고, 연한 내에 손상시키면 해당 관원을 논죄하여 각기 정성껏 잘 보관하게 하라.”와 일치한 데서 알 수 있다.
1791년 8월 16일에 정조가 내린 전교의 내용은 능·원·묘의 제기가 여러 해 되어 훼손된 것이 많으니 금년 가을에 봉심 전에 일체 개수하거나 새로 마련하고, 차후에는 유기·목기·자기의 사용 연한을 정하라는 것이다. 1792년 3월 호조의 계문은 위 『정조실록』의 제기 중에서 목기는 3년, 유기는 10년, 철기는 5년 등으로 사용 연한을 정한 것이다.
다음으로 홍릉에 보관되어 있는 제기의 종류, 종류별 보유된 수효, 제기의 제작 시기 등을 기록하고 있다. 제기의 종류는 은숟갈, 은젓가락 각 2쌍 등 2종, 유기는 鍮藥果臺 등 33종, 철기는 鐵書鎭 1쌍, 銅器는 銅灌子 등 2종, 기타 18종의 제기가 기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홍릉에 보관된 제기의 종류와 보유된 수효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정조실록

집필자

성봉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