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창릉축식(昌陵祝式)

자료명 창릉축식(昌陵祝式)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昌陵祝式 저자(이칭) 미상(編者未詳) , [編者未詳]
청구기호 K2-2376 MF번호 MF16-29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陵·園·墓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2376
· 마이크로필름 MF16-29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4.8 X 21.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6.7×17.5㎝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睿宗과 繼妃 安順王后 韓氏의 능묘인 昌陵에서 寒食에 쓰이는 축문의 문투를 기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 하단에 ‘全’으로 표기되어 있다. 표지를 개장한 것으로 보이나 개장 기록은 없다. 앞표지와 본문 사이의 隔紙에도 서명이 墨書되어 있다. 본문은 총 한 장으로 어미가 없는 사주단변 주사란에 10행 25자로 필사되어 있다. 본문에 사용된 종이는 壯紙이다.
체제 및 내용
본 축문은 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도동西五陵 안에 있는 창릉의 한식 祭禮에 쓰인 축문이다. 표지 서명은 ‘昌陵祝式’이나 내제는 ‘昌陵寒食祭祝式’이다. 내제 아래에는 告由祭나 告安祭 때에도 본문의 ‘謹’ 이하는 내용이 같다고 적혀 있다.
축문의 형식은 私家의 忌祭祝 형식과는 매우 다르다. 그러나 기두 부분을 기록하는 방식은 士大夫家의 축문처럼 ‘維年號幾年歲次某甲某月某甲朔某日某甲’이라고 하여 같다. 그다음 기일의 다음 행에는 ‘孝曾孫嗣王臣’이라 하여 제향하는 봉사손을 기록하고, ‘謹遣’ 다음에 제사를 집전하는 신하의 이름을 쓰도록 되어 있다. 흠향하는 주체는 ‘睿宗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과 ‘祖妣仁惠昭徽齊淑安順王后韓氏’라고 했다. 다음은 축문의 내용인데 “엎드려 생각건대, 光陰이 바뀌고 가서 忌日이 돌아와 애오라지 변변찮은 祭需를 갖추어 작은 정성을 보입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펼쳐 놓으니, 부디 드시옵소서.[伏以 節序易流 當玆令辰 忱增感慕 聊蕆明禋 謹以淸酌庶羞 式陳明薦 尙饗]”라고 했다.
왕실에서 사용한 것으로 마찬가지로 ‘한식제축식’이라 하여 高宗 시대에 국가 및 왕실 제사에서 사용된 축식을 모아 기록한 책인 『典祀祝式』에 수록된 ‘順康園寒食祭祝式’의 경우에 형식은 같으나 “伏以 雨露旣濡 時維冷節 追遠興懷 庸薦芬苾 謹以”라 하여 내용이 다르고, ‘綏吉園寒食祭祝式’의 경우에도 “伏以 緬懷哲範 于時露濡 歲常薦禋 禮與敬須 謹以”라 하여 다르게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왕실의 한식제축식이라 하여도 각 능원별로 내용은 달리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성봉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