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창릉제기연한책(昌陵祭器年限冊)

자료명 창릉제기연한책(昌陵祭器年限冊)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昌陵祭器年限冊 저자(이칭) [撰者未詳]
청구기호 K2-2375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陵·園·墓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 원문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92](정조 16년)
· 청구기호 K2-237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4.9 X 23.1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6.1×18.9㎝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92년(정조 16)睿宗과 繼妃인 安順王后 韓氏를 모신 昌陵에 보관된 祭器 등의 세목과 그 비치 상태 등을 기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祭器年限冊’이다. 앞표지 우측 상단에는 ‘昌陵’이, 우측 하단에는 ‘壬子六月’이 표기되어 있다. 표지를 개장한 것으로 보이나 개장 기록은 없다. 앞표지와 본문 사이의 隔紙에도 앞표지와 동일한 기록이 있다. 본문은 어미가 없는 사주쌍변 오사란에 10행 22자로 필사되어 있다. 본문에 印文이 흐릿한 ‘⊙⊙⊙⊙⊙⊙’ 6顆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창릉은 현재 경기도 고양시 神道邑 龍頭里에 있다. 왕릉과 왕비릉은 각각 1470년(성종 1)1499년(연산군 5)에 정하여졌으며, 同原異岡式을 이루고 있다.
본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는 신해년(1791, 정조 15) 8월 16일 정조의 전교, 두 번째는 임자년(1792) 3월 호조의 계사, 세 번째는 창릉의 제기 현황에 대한 기록이다. 정조의 전교 내용은 陵·園·墓에 쓰이는 제기들이 오래되어 없어지고 훼손된 것이 많으니 올해 가을에 奉審할 때는 일체를 개비하거나 새로 준비해서 이후에는 鍮器, 木器, 磁器 등에 각기 사용 연한을 정하라는 것이다. 호조의 계사 내용은 능·원·묘의 제기를 개보수하여서 사용할 것, 오래된 제기 가운데 변색하였어도 문제가 없으면 그대로 사용할 것, 각 능·원·묘의 陵軍輩들로 하여금 제기의 출납과 세척을 잘하도록 할 것 등이었다. 그리고 제기에는 신구 제기를 막론하고 陵號 한 글자를 새겨서 표시하고, 작년과 올해 새로 만든 제기에는 ‘辛亥’와 ‘壬子’라고 새기어 사용 연한을 명기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이어서 각 제기들의 사용 연한은 木器는 3년, 鍮器는 10년, 鐵器는 5년으로 정한다고 하였으며, 만약에 기한 내에 문제가 생기면 해당 陵官이 직접 조사를 해서 죄를 물어야 한다고 하였고, 이에 임금이 윤허하였다.
창릉의 제기 현황은 다음과 같다. 銀匙 2面, 銀箸 2雙, 鍮爵 6坐 이 중 1좌는 임자년에 새로 갖춤, 臺 6좌, 鍮藥果臺 8좌 이 중 3좌는 임자년에 새로 갖춤, …… 鍮東海 8좌 이 중 1좌는 신해년에 새로 갖추고 1좌는 경술년 6월에 새로 갖춤, …… 鑄沙用 4좌 이 중 2좌는 신해년에 새로 갖추고 2좌는 임자년에 새로 갖춤, …… 豆毛 1좌 신해년에 새로 갖춤, 炙金 1쌍.
특성 및 가치
본 연한책은 창릉에 보관된 제기의 종류와 수효 등 그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자료이다.

집필자

백영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