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순회묘등록(順懷墓謄錄)

자료명 순회묘등록(順懷墓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順懷墓謄錄 저자(이칭) 禮曹(朝鮮) 編 , 예조 , 예조(禮曹)
청구기호 K2-2343 MF번호 MF35-604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70(영조 46년)
· 청구기호 K2-2343
· 마이크로필름 MF35-604
· 기록시기 1770年(英祖 46)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 유일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8.0 X 20.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영조 연간에 順懷世子(1551~1563)와 恭懷嬪 尹氏(?~1592)의 묘에서 행해지는 제향 및 묘의 관리에 관한 제반 규정과 문서식을 정리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謄錄’이나 그 윗부분에 따로 ‘順懷墓’라 기록한 題簽을 더하였다. 표지를 改裝한 것으로 보이나 개장 기록은 없다. 앞표지와 본문 사이의 空隔紙 하단에 ‘謄錄 二’라고 표기되어 있는 籤紙가 있다. 본문은 匡郭과 界線이 없는 楮紙에 14行 字數不定으로 筆寫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순회묘등록』은 주로 영조 연간에 마련된 순회묘의 제향 및 묘의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규정과 문서식을 적고 있다. 작성 시기는 ‘숙묘’라는 표현과 등록 후반부의 ‘文書傳掌’ 내용 가운데 등록이 파손되어 여러 절목을 참고할 수가 없으므로 1745년(영조 21) 기축년에 다시 작성하였다고 적고 있는 점, 그리고 필사된 예조하첩 등의 내용을 통해 영조 연간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등록은 묘를 관리하던 관원이 순회묘의 재실에 보관되어 오던 옛 등록을 참고하여 1770년(영조 46) 이후에 작성한 등록이다. 후반부의 일부분은 순조 대에 추가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에 왕릉의 경우, 능참봉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능에 보관해 오던 등록을 보다 체계를 갖춘 능지의 형태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시도들이 있었는데 『순회묘등록』의 작성은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순회세자(1551~1563)는 조선 제13대 왕 명종인순왕후 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558년(명종 13) 세자에 봉해졌으나 1563년(명종 18) 9월 20일 향년 13세로 졸하였다. 순회묘순회세자와 그 부인 공회빈 윤씨(1553~1592)의 묘이다. 경기도 고양 昌陵의 주봉인 앵봉 서록에 장사 지냈다.
순회묘등록』을 작성하게 된 계기는 1708년(숙종 34) 8월 14일 숙종의 하교와 8월 20일 예조판서 趙相愚의 계사에 의해서 순회묘와 관련된 구체적인 규례를 시행하게 된 사실과 관련이 있다. 앞부분에 〈묘상상설지도〉, 〈정자각도〉, 〈헌관제집사위차지도〉, 〈한식제진설지도〉 등 4개의 그림이 실려 있다. 제사의 종류, 제관의 선정과 분배, 제물, 향, 축문, 음복, 홀기 등 순회묘의 제사와 관련된 다양한 시행 규정과 이와 관련된 각종 문서식, 봉심 절차, 예조하첩 등 다양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장서각 유일본으로 조선 후기 국가 제향 가운데 세자묘의 제사절차와 관리규정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참고문헌

장서각 편찬, 유지복 역주, 『역주 창릉지』, 2013.
정경희, 「조선후기 궁원제의 성립과 변천」, 『서울학연구』 23, 2004.

집필자

김지영·한국학중앙연구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