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순종효황제산릉주감의궤(純宗孝皇帝山陵主監儀軌)

자료명 순종효황제산릉주감의궤(純宗孝皇帝山陵主監儀軌) 저자 산릉주감(山陵主監) 편(編)
자료명(이칭) 純宗孝皇帝山陵主監儀軌 , [순종효황제]산릉주감의궤([純宗孝皇帝]山陵主監儀軌) 저자(이칭) 純宗孝皇帝山陵主監 編 , 순종효황제산릉주감(純宗孝皇帝山陵主監 編) , 순종효황제산릉주감
청구기호 K2-2339 MF번호 MF16-692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26
· 청구기호 K2-2339
· 마이크로필름 MF16-69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산릉주감(山陵主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1.6 X 28.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6.6×21.0㎝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26년 4월부터 6월까지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일제강점기 李王으로 격하된 純宗의 능인 裕陵을 조성하였는데, 그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하단에 ‘丙寅’이 표기되어 있다. 표지는 무늬가 있는 黃色 비단으로 裝潢하였다. 題簽은 朱色 비단 테두리를 두른 白色 비단 위에 書名이 墨書되어 있다. 書根題는 ‘純宗孝皇帝山陵主監儀軌’이다. 본문은 四周雙邊 上下向二葉花紋朱魚尾의 주색 印札空冊紙에 10行 20字로 筆寫되어 있다. 卷首題面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1926년 4월 26일 순종은 향년 53세로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하였다. 순종의 발인은 6월 11일에 치러졌고, 다음 날 양주 금곡 홍릉 부근에 조성된 유릉에 안장되었다. 순종의 상·장례는 국권을 상실한 일제강점기에 치러진 만큼 ‘국장’이 아니라 ‘御葬’으로 불렸다. 따라서 순종의 상·장례 업무는 御葬主監, 殯殿魂殿主監, 山陵主監에서 담당하였으며, 侯爵 尹澤榮을 總護員으로 삼아 세 주감을 총괄토록 하였다.
순종유릉에 안장한 후에 세 도감에서 각각 의궤를 편찬하였는데, 이 책은 순종유릉을 조영하는 일을 관장한 산릉주감에서 편찬위원회를 따로 구성하여 작성한 의궤이다. 편찬위원장은 따로 기록하고 있지 않고, 편찬부위원장은 掌侍司長 남작 李恒九였다. 편찬원으로 囑託인 나리타 세키나이(成田碩內)를 비롯한 屬의 직위에 일본인 세 명이 포함되어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이들은 순헌황귀비의 원소의궤를 작성할 때에도 동일한 직책으로 참여하였다.
책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時日, 座目, 下敎及上啓, 園上閣, 隧道閣, 鉤棒機, 別轆轤, 天中鐵, 輸轝平床, 貼木, 槊木, 陵寢內排設, 唐家, 神御床, 揷屛, 下平床, 欑宮, 回南首平床, 輸轝排設, 吉幄宮, 園所裁穴封標時所入, 甕家隧道閣穿, 壙成墳時所入, 退壙內石函準備, 陵上石儀, 假寢殿, 寢殿, 碑閣, 寢殿前石儀, 御齋室以下各處所, 陳設圖式, 附 諸尺, 儀軌編纂. 「御齋室以下各處所」 항목의 내용에 홍릉의 어재실이하각처소와 형편에 따라 통용하도록 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특성 및 가치
장서각 유일본으로, 일제 강점기 왕실의 상·장례 연구에 유용하다.

집필자

김지영·한국학중앙연구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