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고종태황제]산릉주감의궤([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

자료명 [고종태황제]산릉주감의궤([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 저자 이왕직(李王職) 편(編)
자료명(이칭) 고종태황제산릉주감의궤(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 , [고종태황제]산릉주감의궤([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1) , 高宗太皇帝山陵主監依軌 저자(이칭) 이왕직(李王職 編) , 李王職 編 , 의궤편찬소
청구기호 K2-2285 MF번호 MF35-407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9
· 청구기호 K2-2285
· 마이크로필름 MF35-40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李王職)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8.2 X 20.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9×15.5㎝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이왕직에서 고종황제의 山陵 조성에 대한 전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山陵主監儀軌目錄’이고 권수제는 ‘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이다. 실제로 의궤이기보다는 의궤를 등록한 자료로 보인다. 내용은 판하구에 ‘李王職’이라고 인쇄된 주색 인찰공책지에 필사되었다. 본문에는 백색 제첨지를 붙여서 내용을 일부 수정한 흔적이 있다. 광곽 좌측 위쪽에 ‘山○○’으로 장차 표시를 하였다. 목록이 있는 장에는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고종황제(1852~1919)의 산릉 조성에 대해 전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이왕직 종이에 필사한 것이다. 고종의 산릉(후에 洪陵)은 1919년 1월 21일 고종이 승하하자,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조성하였다. 표제는 ‘山陵主監儀軌目錄’이다.
목록과 時日, 座目과 奉膳及典衛, 下敎及上啓를 비롯하여 陵上閣, 隧道閣, 鉤捧機, 別轆轤 등 산릉을 조성하기 위해 가설한 건물 및 도구별로 관련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현재 장서각에는 같은 이름의 『高宗太皇帝 山陵主監儀軌』(K2-2284)가 소장되어 있는데, 내용이 동일하다. 다만, K2-2284본에는 陵上閣과 隧道閣, 구봉기, 별녹로, 천중철, 윤여평상, 첨목, 槊木, 寢殿內排設, 唐家, 神御床, 揷屛, 下平床, 欑宮, 四獸圖, 吉帷宮 등 거의 모든 가설물과 기구의 모습 및 배치 상황이 각각의 설명과 함께 채색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陵上石儀에서는 병풍석, 난간석, 석주, 혼유석, 명등석, 망주석 등 왕릉에 조성하는 각종 석물의 모습과 무늬 등을 그린 그림이 실려 있는데, 본 의궤에는 이러한 그림이 전혀 없다. 安香廳 및 御齋室, 睿齋室, 상선처소, 내인처소 등 각종 전각의 칸수와 방의 배치 상황 등을 그린 〈安香廳以下各處所間架圖〉가 유일한 그림 자료이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高宗太皇帝 山陵主監儀軌』(K2-2284)의 해제 참조.

집필자

김세은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