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자료명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1770]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 宗廟儀軌續錄 ,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저자(이칭) 의궤청(조선) 편(儀軌廳(朝鮮)編) , 조선 종묘서 , 儀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2203 MF번호 MF35-2280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70(영조 46년)
· 청구기호 K2-2203
· 마이크로필름 MF35-228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45.0 X 32.9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4.3×26.0㎝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42~1770년(영조 18~46)에 거행되었던 追崇, 祔廟, 世室, 改修 등 종묘영녕전에 관련된 각종 의식을 정리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구표지 서명, 표지 서명은 ‘宗廟儀軌續錄’이고 서근제는 ‘儀軌續錄’이다. 서명은 표지 서명을 근거로 하였다. 구표지 및 앞표지에는 ‘英宗庚寅(1770)二月至添錄’이라고 묵서되어 있다. 인찰공책지에 내용을 필사하였으며 서미에는 편명이 묵서되어 있다. 권수에는 〈宗廟全圖〉가 수록되어 있다. 본문 앞, 뒷장 일부가 배접되어 있다. 장황은 선장으로, 재장한 것으로 보인다.
체제 및 내용
이 의궤는 기존의 『종묘의궤』를 준거로 하여 1742년 이후 변동된 사항이 있을 경우 그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樂章에는 종묘영녕전의 각 실에 사용되는 악장이 명실이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영조와 조정중신 간의 논란, 加上尊號에는 숙종영조의 생모인 毓祥宮에게 존호를 올리는 일, 世室은 영조숙종을 세실로 결정하기까지의 논의 과정을 기록하였다.
祔廟에는 경종의 부묘 절차 및 의식, 親任誓戒省牲과 親任省牲器儀는 영조가 친히 종묘 제향을 올리기 전에 犧牲과 祭器를 검사하는 의식과 절차, 望燎에는 종묘 제향이 끝난 후에 종헌관이 祝과 幣帛을 坎에 묻는 望瘞 대신에 왕이 직접 감에 가서 축과 폐백을 태우는 의식을 지켜보는 망료로 바꾸는 논의 등이 기술되어 있다. 마지막에 종묘의궤의 정리, 수록을 담당한 책임자의 명단은 없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영조 중반기의 종묘와 관련된 의식 내용 및 절차를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영조가 주도적으로 추진한 숙종의 존호 추상 및 생모 육상궁의 존호 추상, 종묘 제향을 국왕이 친히 거행하려는 의지 등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최순권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