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종묘의궤(宗廟儀軌)

자료명 종묘의궤(宗廟儀軌) 저자 김재찬(金載瓚)
자료명(이칭) 宗廟儀軌 , 1820년 종묘의궤(宗廟儀軌) 저자(이칭) 의궤청 , 의궤청(조선) 편(儀軌廳(朝鮮)編) , 儀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2199 MF번호 MF35-2280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宗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종묘자료
· 작성시기 1820(순조 20년)
· 청구기호 K2-2199
· 마이크로필름 MF35-228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김재찬(金載瓚) 등(等)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5.3 X 32.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2.9×25.7㎝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00년(순조 즉위)부터 1820년(순조 20) 사이에 정조의 승하와 순조의 즉위를 계기로 발생했던 國恤, 祔廟, 祭享, 增修 등 종묘영녕전에 관련된 각종 의식을 정리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宗廟儀軌’이고 서근제는 ‘儀軌錄’이다. 권수제가 따로 없으므로 서명은 표지 서명을 근거로 하였다. 앞표지 우측에는 ‘純宗辛酉(1801)始 庚辰至’라고 기록되어 있다. 인찰공책지에 내용을 필사하였으며 본문 첫 장은 공격지이다. 두주에 편명이 묵서되었다. 장정은 놋쇠로 변철하였으며, 표의는 주색 삼베를 사용하여 분상용 의궤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이 의궤도 기존의 『종묘의궤』를 준거로 하여 1800~1820년에 변동된 사항이 있을 경우 그것을 기록한 것이다. 특히 정조의 승하와 순조의 즉위에 따른 종묘 관련 사실을 기록하였다.
親祭에는 1804년(순조 4) 순조가 종묘제향에 참석할 때 望廟樓에서 밤을 지냈다는 등의 친제 내용, 廟見에는 순조의 嘉禮에 따라 왕비가 종묘에 謁見하는 내용, 薦新ㆍ告由 등에는 종묘영녕전 제향에 올리는 제물의 종류와 수량, 제향 절차, 국가와 왕실에 특별한 일이 있을 때 고하는 의식, 國恤에는 정조의 승하에 따라 거행되었던 國喪 전반에 대한 내용을 편년순으로 기록하였다.
請諡에는 정조가 승하함에 따라 전례에 따라 청나라에 왕의 시호를 요청하여 받게 되는 시말, 祔廟에는 1802년(순조 2)정조종묘 15실에 봉안하는 내용, 配享에는 정조의 신위에 배향될 신하들의 선정 절차 및 그 결과, 用樂當否에는 1805년(순조 5) 추향대제 시에 종묘에 음악을 사용할지 아니면 그만둘지 등의 논의, 勅諭에는 축문을 읽을 때 왕의 어휘를 같이 읽으라는 내용, 故事에는 金履陽(1755~1845)이 종묘의궤의 수정을 요청하는 기록 등이 기록되어 있다. 마지막에 종묘의궤의 정리, 수록을 담당한 도제조 金載瓚(1746~1827) 등의 명단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정조의 승하와 순조의 즉위에 따른 종묘와 관련된 의식내용 및 절차를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최순권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