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종묘의궤(宗廟儀軌)

자료명 종묘의궤(宗廟儀軌) 저자 서문중(徐文重)
자료명(이칭) 宗廟儀軌 , [1706]종묘의궤(宗廟儀軌) 저자(이칭) , 의궤청(조선) 편(儀軌廳(朝鮮)編) , 조선 종묘서 , 儀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2194 MF번호 MF35-2280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국가문화재
· 작성시기 1706(숙종 32년)
· 청구기호 K2-2194
· 마이크로필름 MF35-228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서문중(徐文重) 등(等)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3.4 X 32.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4.7×26.1㎝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06년(숙종 32) 도제조 徐文重(1634~1709) 등이 조선 건국부터 숙종 대에 이르기까지 종묘영녕전의 창건, 중수, 제향 등에 관련된 일체의 사실들을 실록, 『승정원일기』, 예조등록 등에서 채록하여 작성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구표지 서명, 표지 서명은 ‘宗廟儀軌’이고 서근제는 ‘儀軌’이다. 권수제가 따로 없으므로 서명은 표지 서명을 근거로 하였다. 본문은 판하구에 ‘李王職’이라고 인쇄된 인찰공책지에 내용을 필사하였다. 장황은 선장으로, 1970년장서각에서 재장된 것으로 보인다.
체제 및 내용
이 책은 원래 4책으로 구성된 종묘의궤로, 표지에는 ‘종묘의궤(全)’라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원래 책의 3ㆍ4책 내용만 남아 있다. 이 책은 3책 부분의 追上尊號에서 樂章까지, 4책 부분의 移還安에서 守僕까지 구성되어 있고, 맨 마지막에 종묘의궤를 작성한 서문중 등 책임자의 명단이 적혀 있다.
樂章에는 종묘영녕전의 제향에 사용되는 악장의 가사에 대한 해설, 移還安에는 태조의 건국 이후 종묘를 건립하면서 四祖의 신위를 봉안한 내용과 명종종묘를 중건하게 되면서 종묘의 신주를 인정전에 옮겼다가 다시 봉안하게 된 내용, 祝文式에는 종묘영령전 각실의 신위에 사용하는 축문의 내용을 실었다.
이때 종묘는 11실로, 태조,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중종, 선조, 원종, 인조, 효종, 현종이 봉안되어 있고, 영녕전은 11실로, 목조, 익조, 도조, 환조, 정종, 문종, 단종, 덕종, 예종, 인종, 명종이 봉안되어 있다. 특히 1681년(숙종 7)공정대왕의 묘호를 ‘정종’으로 하고, 1698년(숙종 24)단종을 복위하여 영녕전에 봉안한 내용이 반영되어 있다.
祝幣에는 4대친인 원종부터 현종에 이르기까지 ‘皇’ 字를 붙여 칭하였고, 5대친 이상인 선조부터 태조까지는 廟號 및 祖妣로 칭하고 있다. 이 의궤는 1706년 작성되었던 종묘의궤 2책(K2-2195)의 뒷부분으로, 편책 과정에서 잘못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숙종 이후 순종 때까지 작성된 조선 후기의 종묘의궤 중에 최초 의궤로, 조선 전기의 종묘와 관련된 의식 내용 및 절차에 관해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宗廟儀軌』(奎 14220)
한국고전번역원 역, 『종묘의궤』, 2009.

집필자

최순권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