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광무년종묘의궤(光武年宗廟儀軌)

자료명 광무년종묘의궤(光武年宗廟儀軌) 저자 종묘의궤청(宗廟儀軌廳) 편(編)
자료명(이칭) 宗廟五享大祭祝式 , [1897]종묘의궤(宗廟儀軌) , 종묘오향대제축식(宗廟五享大祭祝式) 저자(이칭) 宗廟儀軌廳(朝鮮) 編 , 조선, 종묘의궤청 , 종묘의궤청(조선) 편(宗廟儀軌廳(朝鮮)編)
청구기호 K2-2192 MF번호 MF35-2279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의궤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7
· 청구기호 K2-2192
· 마이크로필름 MF35-2279
· 기록시기 1897~1906年(光武年間)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종묘의궤청(宗廟儀軌廳)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53.3 X 36.1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43.6×30.4㎝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대한제국 광무 연간에 종묘영녕전 제향에서 사용된 축식을 모은 의궤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光武年宗廟儀軌’이다. 서명은 표지 서명을 근거로 하였다. 오사란에 내용을 필사하였다. 본문 중 수정할 부분은 황색 제첨지를 붙여 교정하였다. 구표지로 추정되는 한 장이 떨어져 나가 있으나 보관은 함께 되어 있다. 제첨지를 붙이고 묵서하였다. 서미의 일부분은 백색 제첨지 위에 ‘無’라고 필사하고 제첨하였다.
체제 및 내용
광무 연간의 종묘의궤로, 종묘오향대제축식(告由, 移還安, 祈祭, 慰安祭 포함), 종묘삭망제축식(정조, 한식, 단오, 추석, 동지), 영녕전춘추대제(告祭 포함)로 구성되어 있다. 1908년(융희 2)享祀釐定』으로, 종묘는 오향대제에서 臘日을 제외하고, 4계절의 첫 달, 즉 춘 정월, 하 4월, 추 7월, 동 10월의 상순에 제향을 지내고, 영녕전은 봄 정월과 가을 7월의 상순에만 2회 제향을 지내는 것으로 정해졌다. 이 의궤는 오향대제가 있는 것으로 보아 1908년 이전인 광무 연간의 종묘영녕전의 축문식을 모아 놓은 것이다.
종묘오향대제는 18실까지 황제의 親享이 아닌 攝事儀 축식이 기록되어 있다. 종묘 1실에서 7실까지는 묘호 다음에 중국 명나라의 賜諡 부분이 가려져 있고, 13실 장조의황제부터, 14실 정조, 15실 순조, 16일 문조, 17실 헌종, 18실 철종까지는 ‘皇’자가 붙어 있다. 그리고 광무 연간에 고종의 傍系親인 진종, 헌종, 철종은 원래 ‘大王’으로 표기되어 있었으나, 1908년에 이들을 황제로 추존하면서 부기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종묘삭망제축식(정조, 한식, 단오, 추석, 동지)에는 17실 철종까지 기록되어 있고 장조는 빠져 있어, 대한제국 초기의 예전인 『대한예전』의 내용을 그대로 참조해서 적은 것으로 보인다.
영녕전춘추대제는 1실에서 14실 진종까지 축식이 기재되어 있는데, 무릇 告祭의 ‘伏以’ 이하는 ‘謹以牲幣’로 쓴다는 내용이 부기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대한제국기에 이르러 국왕이 천자로 승격됨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황제국으로서 중국 시호를 삭제하는 등 축식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집필자

최순권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