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자료명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저자 의궤청(儀軌廳) 편(編)
자료명(이칭) 1835년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1} , 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저자(이칭) 의궤청 , 의궤청(儀軌廳 編) , 儀軌廳(朝鮮) 編
청구기호 K2-2189 MF번호 MF35-2279, 2912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宗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종묘자료
· 작성시기 1835(헌종 1년)
· 청구기호 K2-2189
· 마이크로필름 MF35-2279, 2912
· 기록시기 1835~1836年(憲宗 1~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의궤청(儀軌廳)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5.3 X 32.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3.9×25.7㎝
· 인장 奉使之印,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35~1836년(헌종1~2)까지 종묘영녕전을 증수할 때의 전말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필사본으로 표지 서명과 권수제, 서근제 모두 ‘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이다. 본문은 판하구에 적힌 ‘李王職’이라고 인쇄된 주색 인찰공책지에 내용을 필사하였다. 卷首에 ‘道光十五年(1835) 乙未十月 日’이라는 기록을 통해서 이 책의 필사 시기를 1835년 이후로 볼 수 있다. 장정은 놋쇠로 변철하였으며, 책의는 주색 삼베를 사용하였으므로 分上用 의궤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1834년(헌종 즉위)文孝世子翼宗으로 추숭하고 1835년순조를 세실로 결정함에 따라 종묘영녕전의 신실이 부족하여 1836년(헌종 2)종묘 정전 4칸, 영녕전 좌우 각 3칸을 증수하였는데, 이때의 전말을 기록한 것이다. 座目秩에는 都提調 領議政 沈象圭(1766~1838)를 비롯하여 참여 인원의 명단을 적었고, 時日秩에는 1835년(헌종 1)의 都監 堂郎 결정을 시작으로 하여, 1836년(헌종 2) 1월 종묘영녕전의 신위를 모두 경희궁에 이안한 다음 각소를 종묘 안으로 옮기고 나서, 破屋은 1월 13일, 開基는 1월 15일, 定礎는 2월 12일, 立柱上樑은 2월 19일 순으로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3월 27일에는 신위를 경희궁으로부터 종묘로 환안한 사실 등이 정리되어 있다.
承傳秩에는 1835년 6월 20일에 宗廟永寧殿增建役을 발의한 것을 시작으로, 다음 해 3월 27일의 신위 還安 사실까지 공사의 전 과정이, 移文秩에는 戶曹兵曹 등과 주고받은 공문 등에 物力의 조달 과정이 적혀 있다. 儀註秩에는 宗廟永寧殿 各室의 신위를 慶熙宮에 이안하고 환안한 의식, 財用秩에는 각급 관청별 物力을 획정한 物力區劃을 비롯하여 用下 등이 적혀 있다. 이 밖에 擧動時 排設을 담당하는 1所, 토목공사를 담당하는 2所, 移安ㆍ還安儀註와 班次圖를 마련하는 3所 등 담당 업무별로 내용을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卷末에 都提調 1인, 提調 3인, 都廳 2인, 郎廳 1인 등 7인의 銜名手決이 있다.
특성 및 가치
1836년의 增修로 종묘는 正殿 19칸으로 확장되었고, 영녕전은 정전 4間에 좌우 夾室 각 6間으로 增建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어서, 현재의 종묘 건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宗廟儀軌續錄』(1842年, 奎 14223)
김동욱, 「조선시대 宗廟 正殿 및 永寧殿의 건물 규모 변천」, 『文化財』 21, 1989.
李康根, 「조선왕조의 神殿 宗廟」, 『美術史學硏究』 216, 1997.

집필자

최순권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