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우주매안처도본(虞主埋安處圖本)

자료명 우주매안처도본(虞主埋安處圖本)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미상(編者未詳) , [編者未詳]
청구기호 K2-2163 MF번호 MF35-485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宗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77(정조 1년)
· 청구기호 K2-2163
· 마이크로필름 MF35-4857
· 기록시기 1777~1836年(正祖 1~憲宗 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55.4 X 41.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첩장(帖裝)
· 수량 1첩(帖)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종묘 정전 북쪽 계단[北階] 위에 묻은 虞主의 위치를 그림과 설명으로 기록한 도설첩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이 ‘虞主埋安處圖本’이니, 서명은 표지 서명을 따른다. 표지 장황은 절첩장이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單邊의 印札空冊紙에 12行 字數不定으로 단정하게 楷書로 썼고, 나머지는 圖形이다. 본문의 종이는 도침이 잘된 壯紙를 사용하였다. 책 수는 1帖 3折이다.
체제 및 내용
‘우주’는 뽕나무로 만들고 산릉에서 신주에 글을 쓴 뒤 첫 번째 기일까지 魂殿에 봉안하는 신주이다. 돌아가신 지 1년이 되는 기일에 練祭를 지낼 때 신주를 우주에서 練主로 바꾸어서 제사를 지냈다. 우주는 제 역할을 다하고 종묘 정전의 북쪽 계단 위에 나아가 매안되었다.
본 첩은 크게 「虞主埋安處圖本」과 「列聖虞主埋安處圖識」로 구성되었다. 채색으로 그려진 ‘우주매안처도본’의 중앙에는 15칸의 神室과 좌우 각 2칸의 夾室로 이루어진 종묘 정전이 그려져 있다. 그 정전의 북쪽에 우주가 매안되어 있는 위치에 해당 국왕의 廟號와 왕후의 諡號 및 서쪽 담장으로부터 몇 步에 있는지를 각각 세필로 적어 놓았다.
「열성우주매안처도지」에는 앞 도면에 적힌 세필의 기록을 정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우주의 매안 위치를 덧붙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열성우주매안처도지’라고 써 놓은 것 아래에 “예부터 매안처는 매양 담장 기와에 써서 표시하였으나 지금은 모두 흐릿해서 알 수 없다. 그러므로 그중에서 알 수 있는 곳을 측량해서 도면으로 그렸다.”라고 쓴 細註를 통해 매안 위치가 확인되는 열성의 우주가 11개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 면에는 북쪽 계단의 동쪽 담장과 서쪽 담장 사이의 길이, 남북의 너비가 기재되어 있고, 아울러 地尺을 그림으로 그리되 6자[尺]가 1步가 된다고 써 놓았다.
종묘 정전1726년(영조 2)에 4칸을 증축하여 총 15칸이 되었고, 1836년(헌종 2)에 다시 4칸을 더 增修하여 총 19칸이 되었다. 그리고 영조의 우주가 매안된 시점은 1777년(정조 1) 3월 5일이므로 본 첩의 제작 시점은 1777년 3월 5일 이후 1836년(헌종 2) 이전으로 추정된다.
특성 및 가치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의 관찬 자료를 통해 혼전에 봉안하는 신주를 언제 매안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위치를 ‘종묘 정전 북쪽 계단 위’라고 제시할 뿐 구체적으로 어디쯤인지는 알기가 어렵다. 본 자료는 그림과 설명을 통해 자세하게 알려 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종묘 및 왕실의 흉례를 연구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강문식·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泰東古典硏究』 27, 2011.

집필자

이현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