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장례원일기(掌禮院日記)

자료명 장례원일기(掌禮院日記) 저자 장례원(掌禮院) 편(編)
자료명(이칭) 장례원일기(掌禮院日記) 저자(이칭) 장례원 , 掌禮院(朝鮮) 編 , 장례원 편(掌禮院 編)
청구기호 K2-2138 MF번호 MF35-800~802
유형분류 고서/일기 주제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6(건양 1년)
· 청구기호 K2-2138
· 마이크로필름 MF35-800~802
· 기록시기 1896~1907年(建陽 1~隆熙 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장례원(掌禮院)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1.5 X 20.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1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5×13.6㎝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장례원에서 1896년(建陽 1)부터 1906년(光武 10)까지 자신들의 업무 관련 사항을 모아 날짜순으로 작성한 일기이다.
서지사항
각 책마다 본문의 첫 줄에 ‘日記’, ‘掌禮院日記’, ‘禮式院日記’라고 적어 놓았다. 표지 서명은 ‘日記’이다. 표지 우측 상단에 ‘掌禮院 光武元年’부터 ‘開國五百四年乙未’까지 책마다 해당 연도를 표시해 놓았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雙邊의 붉은색으로 찍은 印札空冊紙를 사용하였으나, 간혹 잉크가 번져 괘선이 보이지 않는 곳이 있다. 판심의 상단에 ‘掌禮院’, 하단에는 ‘第 道’가 찍혀 있다. 본문은 10行에 字數不定의 필사본이다. 각 절마다 광곽의 상단에 주황색의 圓點을 찍었다. 책 수는 不分卷 14책이다.
체제 및 내용
장례원에서 1896년(건양 1)부터 1906년(광무 10)까지 자신들의 업무 관련 사항들을 모아서 날짜순으로 작성한 약 16년간의 일기이다. 장례원궁내부 소속의 통례원1895년(고종 32)에 개칭된 관서로, 궁중의 의식과 각 왕릉의 제사 및 종실 귀족의 사무를 관장하는 곳이다.
문장은 순한문체와 국한문 혼용체, 이두, 한글 구결 등이 섞여 있으며, 기사마다 동그라미를 쳐서 구분하고자 하였다. 날짜는 양력 표기를 원칙으로 하고 그 아래에 작은 글씨로 음력을 달았다. 여기에 실린 기사들은 주로 奏本, 奏聞, 上奏, 院單子, 詔勅, 상소 등이다.
내용은 제1책의 경우, 대행왕후의 국장, 태묘와 전궁 및 각 능원의 제향은 옛 법식을 준수하고 舊曆을 사용할 것, 원구와 사직 등의 제향 釐正은 장례원에서 전관할 것, 大中小祀와 속례 및 外道祀典의 이정, 장례원경 민종묵의 상소, 대보단만동묘 제사는 국휼 졸곡 전이라도 길일을 택해 거행할 것, 장례원경 김규홍의 상소, 산릉으로 새로 정할 곳을 간심하고 올 것, 인산 전이라도 私家의 葬事와 祥祭 및 禫祭는 금하지 말 것, 재간심한 7곳은 山運에 알맞지 않아 다시 산을 구해 간심토록 할 것 등의 기사가 주목할 만하다. 그 외에, 단발령, 홍릉 축조, 광무 연호의 제정, 황제 즉위와 관련된 제반 의례의 제정, 흥선대원군의 예장, 조경단준경묘의 복원, 7대조의 황제 추봉, 흥덕전의 중건, 홍릉의 천장, 고종기로소 입소, 즉위 40주년의 칭경, 황귀비 책봉례, 명헌태후의 상장례, 중화전 중건, 의친왕의 책봉 등 황실의 각종 의례와 행사 등에 관한 사항들이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황제국으로 탄생한 이후와 일제강점기에 시행한 국가 전례의 양상과 황제국의 지위 및 위상과 관련하여 상호 비교해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