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북학의(北學議)

자료명 북학의(北學議) 저자 박제가(朴齊家)
자료명(이칭) 北學議 저자(이칭) 朴齊家(朝鮮) 著
청구기호 K2-2081 MF번호 MF35-163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通制·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78(정조 2년)
· 청구기호 K2-2081
· 마이크로필름 MF35-163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박제가(朴齊家) 저(著)

형태사항

· 크기(cm) 26.2 X 17.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19.5×13.8㎝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78년(정조 2)사은경진주사 蔡濟恭의 隨行員으로 淸나라에 갔던 朴齊家가 그곳에서 보고 들은 풍속과 제도, 물질문명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나라의 선진 문물을 적극 배울 것을 촉구하며 쓴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과 서근제는 1책이 ‘北學議內編’이고, 2책이 ‘北學議外編’이다. 표지 장황은 황색 종이에 卍字 문양이 있는 것이다. 內篇 1卷, 外篇 1卷 등 合 2冊으로 구성되었다. 본문 판식은 四周單邊에 上內向二葉花紋魚尾로 찍은 印札空冊紙에 10行 21字로 맞추어 쓴 필사본이다. 목록이 있는 면에 ‘李王家圖書之章’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서문과 북학의 내외편, ‘진상북학의’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모두 세 편으로, 1782년(정조 6)保晩齋 徐命膺이 쓴 글, 1781년(정조 5)燕巖 朴趾源이 쓴 글, 1778년(정조 2)에 저자 자신이 쓴 自序 등이다. 自序에서는 孤雲 崔致遠重峯 趙憲中國의 문물을 들여와 자국의 문화적 성장을 이룰 것을 기대한 것과 마찬가지 마음으로 이 책을 지었다고 했다.
內篇에는 車‚ 船‚ 城‚ 甓‚ 瓦‚ 甆‚ 簟‚ 宮室‚ 窓戶‚ 階砒‚ 道路‚ 橋梁‚ 畜牧‚ 牛‚ 馬‚ 驪‚ 鞍‚ 槽‚ 市井‚ 商賈‚ 銀‚ 錢‚ 鐵‚ 材木‚ 女服‚ 場戱‚ 漢語‚ 譯‚ 藥‚ 醬‚ 印, 氊, 塘報‚ 紙‚ 弓‚ 銃矢‚ 尺‚ 文房之具‚ 古董書畵 등 30개 항목에 걸쳐 의 물질생활의 실상을 소개하고, 그 이점을 적극 활용하기를 촉구했다.
外篇에는 田‚ 糞‚ 桑菓‚ 農蠶總論‚ 附李喜經農器圖序‚ 龍尾車說(綸菴 李喜經)‚ 科擧論‚ 附丁酉增廣試士策‚ 科擧論二, 官論·祿制‚ 財賦論‚ 通江南浙江商舶議‚ 葬論‚ 兵論‚ 尊周論‚ 北學辨‚ 應旨進北學議疏 등 17개 항목이 실려 있다. 외편의 권두에 실린 「北學議外編目錄」에는 이들 항목 외에 赧栗都尉論, 立甓司車院議, 同律度量衡論, 附李德懋禮記臆律度量衡條, 黨論, 名論, 俠論, 中國秕政, 東方禮俗, 日本論, 濬川議, 山城論, 選士入太學議, 族薦議, 附上李副使書 등이 제시되어 있으나, 본문에는 실리지 않았다.
부록으로 ‘임금에게 올린 북학의(進上北學議)’를 실었다. 車(9則)‚ 田‚ 糞(5則)‚ 桑‚ 農器(6則)‚ 鐵‚ 稻種‚ 穀名‚ 地利(2則)‚ 水田‚ 水利‚ 老農‚ 區田‚ 注秧‚ 種藷‚ 末利‚ 汰儒‚ 屯田之費‚ 濬河(2則)‚ 築倉(3則)‚ 五行汨陳之義‚ 樊遲許行‚ 祈天永命 등 23개 항목이다. 農蠶總論‚ 財賦論‚ 通江南浙江商舶議(2則)‚ 尊周論 등은 제목만 제시하고 본문은 생략했다.
특성 및 가치
박제가 및 18세기 후반 조선 북학파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 사회에서 『북학의』가 어떻게 필사되고 유통되었는지 이 자료를 통하여 살필 수 있다.

집필자

정호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